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창녀의 아이이며, 프랑스에서 아랍인으로 살아가는, 이제 열 살(실은 열네살) 먹은 모하메드이자 모모는 부모님이 맡기고간 전직창녀였던 로자아줌마네 집에서 성장을 한다.

어린 소년의 눈으로 뒷골목을 그리고 있는데, 아랍인, 아프리카인, 유태인 등 인종차별을 받는 사람들부터 창녀들, 버림받은창녀의 아이들, 의지할데없는 노인들, 성전환자 등등 소외계층을 바라보고 있다.

그 속에서 모모는, '남과다른' 시선을 유지하며 자기만의 철학을 만들어간다.

일견, 은희경의 새의선물이 생각나는데, 그 소설보단 좀 더 비극적이고 우울하다.

첨엔, 일찍 세상을 알아버린 아이가 그 속에서 생을 깨우치고 삶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이야기일줄 알앗는데, 읽어가면 읽어갈수록 마음이 무거워지고, 과연 모모가 자기 말대로 강해지기위해 경찰이나 테러리스트가 될 수 있을것인지, 혹은, 하밀할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빅토르위고처럼 '가엾은사람들'에 관한 글을 씀으로써, 복수를 할 것인지에 대한 기대마저도 희미해져갔다.

출생의 비밀을 알게되고, 서로 의지가 되어주던 로자아줌마의 한없이 비극적인 죽음앞에서 소리내 울지도 않고, 고작 영화필름을 되돌리듯 상상하고, 자기세계에 빠져버린 모모가 가여웠다.

그러나, 그런 동정심을 원하지 않는 듯, 아무런 희망없이 나일 먹어버린 모모를 그림으로써 세상은 이렇게 추하다는걸 알려주려한건지, 그럼에도 이렇게 세상을 살아내고, 살아볼만하다는걸 알려주려한건지 감이 잘 안온다. 마음이 무겁다.

그래도 마지막 두 문장에서 "사랑이 무엇인가를 깨닫지 못한 사람들은 아무것도 모르는 법이다. 사랑해야 한다" 라고 해‡J길래, 희망을 전하고 싶엇나부다,라고 믿기로 했다. 벌써 절망을 배우고 싶진 않으니까.

 

작가는 에밀아자르인데, 로맹가리와 동명이인이란다.

책표지에 나와있어서, 호기심이 동해 검색해봤는데 재밌는게 많다.

한 작가에게 한 번 준다는 프랑스 공쿠르상인가를 이, 자기앞의생으로 또 받았단다.

물론, 필명이니 다른 사람은 모른채로. 풉. 그랬드니 실명이 필명을 표절하려든다는 모함도 받았단다. 정말 웃긴다.

<네 멋대로해라>의 여주인공 진세버그하고도 결혼했단다. 그러고 진세버그가 약물투여로 자살하고, 1년 후 이사람도 권총자살했는데, 자살하면서 로맹가리와 에밀아자르가 동명이인임을 밝혔다고 하니, 표절이니 뭐니 했던 평론가들하며 정말 쪽팔렸을게다. 당시에 굉장한 센세이션을 일으키지 않았을까싶다. 검색한 기사 하나만 보고 말하는거긴 하지만.

 

다시 책으로 돌아가면, 로자아줌마가 워낙에 가엾게 돌아가셔서 우울해지긴 했지만, 첨엔 굉장히 유쾌하다. 다름아닌 모모때문에.

내가 본 책 출판사가 청목인데, 제본상에 실수인지, 아니면 의도된 오타인지 잘못 표기된 단어부터, 받침 빼먹은거, 문맥흐름에 맞지 않는 동사들이 끼여있곤 한데, 첨엔 의아했지만 의도된거라고 생각하고 보면, 어른스러운 척 하지만 결국은 열네살일뿐인 소년이 더 사랑스럽게 느껴진다.

가히 철학자다운 면모를 보이는 모모의 독특한 사고는, 나조차도(워~ 이 건방진.) 배울게 많거든.

앞에 앉혀놓고 볼을 꼬집어주고 싶을만큼 기특하고 사랑스럽지만, 다시 고개를 내저었다.

이 아이는 서른 살 먹은 의사마우뜨에게, "그는 아직도 너무나 많은 것을 배워야 할 서른 살밖에 되지 않은 젊은 녀석이었으니 말이다." 라고 말하는데, 내가 그랬다간 "이런, 이제 고작 스물몇살밖에 안먹은 기집애가!" 할지도 몰라서 말이다. 기집애란 말엔 신경쓰지 마시라. 모모는 인종,성 등 세상에 넘쳐나는 차별같은건 무시하는 아이니까. 단지 내 말투일뿐.

에밀아자르의 글로 <가면의생>에서 모모가 나온다니, 이거나 또 봐야겠다.

로맹가리의 페루어쩌고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