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나의 도시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콤한나의도시 드라마에 관심이 갔던건 물론 이선균과 지현우도 있지만 못생긴게 촌스럽기까지하믄 안대자나.라는 강박으로 4차원패셔니스타 최강희양께서 멀 입고 나와줄려나를 보기위해가 더 컸다. 그리고 그녀는 비슷한 원피스와 비슷한 색감의 가디건을 질르게 햇다. 드라마 내용도 가볍게 봐줄 트렌디 드라마 형식이엇고 부담없이 보다가 어디선가부터 심각해지기 시작했는데 그게 싫어서 나중엔 안봤다.

달콤한나의도시 책은 드라마와 꼭같앗다. 작가가 시나리오까지 썼나 싶을 정도로 똑같앗고 가벼웠다. 그리고 어느 순간 무거워졌는데 드라마도 글코 책도 글코 그 지점이 이선균이었던거 같다. 거기서부터 줄거리 전개도 조금씩 틀려졌고. 첨 잡았을 때 마루야마 겐지의 '달에울다'읽고 나서 똥폼 잡는 분위기에 빠져있을 때라 된장스러운 일상에 실망도 했는데 뒤로 갈수록 더 좋아지긴 햇다. 그치만 도시에서 성장한 여인의 성찰과 생활 속 감상은 이웃블로그에서도 이미 차고 넘치게 읽는다. 그들의 폼잡지 않는, 심각한체 재지않는, 통찰력잇는 일상이야기에 중독되어 있는 난 이 책이 글케 새롭지 않았다. 그래서 결국 아까웠다. 돈.

웃긴건 트렌디드라마형식일 땐 잘 보다가 심각해지니까, 왜 이래 골아푸게 하면서 안봤던 드라마였는데 책은 가벼울땐 엄청난 인내심을 발휘하며 참아내다가 심각해지니까 마음이 편안해지면서 몰입이 됏다는거다. 흠, 이거 정신분석학적으로다가 먼가 잇는것일까-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