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록 홈즈 : 모리어티의 죽음 앤터니 호로비츠 셜록 홈즈
앤터니 호로비츠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대한 글을 쓰기 전에 우선 앤서니 호로비츠의 전작을 읽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혀야 겠다. 사실 그 전까지 코난도일 재단에서 공식으로 출간했다는 문구나 올해의 작가상이라던가 영국 아카데미상을 받았다는 얘기에도 원작이 아닌 이상 어쨋든 패러디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제목이 모리어티의 죽음이라는 엄청난 타이틀을 걸고 있지 않았다면, 어쩌면 나는 이런 보물같은 작품을 내 편견 때문에 놓쳐버렸을 지도 모른다. 그리고 제목 때문에 읽기 시작했으면서도 바보같이 '도입부가 별로 세련되지는 않은 걸' 하고 얕보다가 암호문에서 한번 함락되고, 결말에서 완전히 무너져 버렸다.

아직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추리과정이나 결말에 대해서 함구해야 하므로 간단히만 얘기하도록 하겠다. 암호문이 감명깊었던 것은 작가가 새로 만들어낸 암호가 아니라 실제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홈즈 주홍색연구에 나오는 문단으로 암호를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 이미 존재하는 텍스트에 의도하는 의미를 집어넣어야 하는 작업이 얼마나 어려울 지 생각해보라. 게다가 만들어진 암호도 굉장히 퀄리티가 높다. 대문자와 소문자가 딱 드러나는 규칙없이 나열되어 있어서 감도 오지 않는데 책에서는 이걸 금세 풀어내버리고 후에는 쉬운 암호였다고 말한다! 여기서 바보가 되어버리는 것은 아마 나만은 아니겠지.(아닐거야)

책의 시작은 하이게이트에서 조나선 필그람이라는 사람이 사망했다는 기사에서 셜록 홈즈와 모리아티가 사망한 라이헨바흐 폭포 사건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진다. 자신을 프레데릭 체이스라고 소개하는 화자는 왓슨의 진술서나 3년 후 다시 등장한 홈즈의 해명에 대한 조금 못마땅한 기색이다. 본 이야기는 라이헨바흐 폭포 사건 직후의 사건으로 모리아티로 추정되는 시신이 발견되어 이를 확인하기 위해 찾아온 두 남자가 만나 사건을 추리해간다.

셜록 홈즈을 이은 책 답게 여기에서도 마치 셜록왓슨 콤비의 케미를 뒤이을 것만 같은 콤비(?)가 나오는데 책의 화자와 애셜니 존스 경감이다. 화자가 주로 사건과 추리하는 사람을 관찰하고 묘사하는 것은 기존의 셜록 홈즈와 같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원작에서는 사설탐정인 셜록이 영국 경찰이 해결하지 못하는 사건을 명쾌하게 해결함으로서 경찰의 무능함이 대비되어 보인다고 할 때, 이 작품에서는 화자의 직업이 탐정이고 추리하는 이의 직업이 경찰이기 때문에 원작과는 다르게 비교적 경찰의 무능함이 도드라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셜록 홈즈의 추리에 의해 비웃음거리로 전락한 경찰의 속이야기가 나온다. 애셜니 존스는 과거 두 사건에서 홈즈와 공조하였는데 홈즈의 추리 이후에 매번 잘못된 추측을 한 자신을 자학하다가 병에 걸려서 1년간 병가를 내게 된다. 1년간 홈즈의 모든 저서를 읽고 홈즈의 방법을 연구하고 홈즈의 실험을 따라하여 홈즈과 엇비슷하게 이를 정도가 되었다. 다른 사람이 홈즈에 대해 물으면 싫은 기색을 내면서도 홈즈를 모방한 지식이 그를 지탱하게 된 것이다.(어디선가 짠내가 나는 것 같다.)

모리아티의 시신을 찾아 온 이 두 사람의 목적은 조금 상이했는데 존스 경감은 그저 진위여부를 확인하러 온 참이었다면 체이스는 어떤 사람의 흔적을 찾기 위해 온 것이었다. 미국 범죄조직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클래런스 데버루가 영국에도 그 세를 뻗치기 위해 모리아티에게 연락을 했다고 하여 발견한 것이 위에도 설명한 암호문이다. 체이스가 클래런스 데버루의 위험함을 주장하며 설명하는 것을 읽으며 그 위로 모리아티가 오버랩되었다. 모리아티가 죽음으로서 악의 그림자를 벗어나려는가 했던 영국에 미국인 악당이 그 부재를 틈타 비집어 들어올 위기에 맞서 체이스와 존스는 같이 클래런스 데버루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하지만 클래런스 데버루는 좀처럼 찾기 힘들고 단서들을 통해 찾은 데버루의 최측근 3인은 외국인 사업가를 자처하며 되려 떵떵거린다. 스코치 라벨, 에드거 모트레이크, 릴런드 모트레이크. 이 책에서 자주 만나게 될 이름들이다. 이런 설정은 꽤나 현대적인 것 같다.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할 범죄자들이 법의 수호를 받아가며 가면 뒤에서 더러운 일을 한다던가 하는 것 말이다. 아마 셜록 홈즈의 팬이라면 기억할텐데 이 책에 붉은 머리 연맹의 그 도둑들이 등장한다. 원작에서도 조금 웃긴 도둑들이라 생각했지만 여기서보면 보다 깜찍(?)하다. 적어도 데버루와 그 일당에 비하면 얼마나 인간적인지.

추리소설 서평은 처음 써보는데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지 않고 적어내려니 좀이 쑤시는 것 같다. 셜록과 왓슨이 등장하지 않지만 그들의 부재가 아쉽지 않을 만큼 시선을 휘어잡고 충격적인 결말의 소설이었다. 개인적으로 매우 신선했고 위에도 적었듯이 이런 반전은 정말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셜록 홈즈 패러디 소설도 적지 않게 읽어봤는데 최고로 뽑고 싶다. 재단들이 언제나 맘에 드는 결정을 내리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이 소설, 이 작가에 대해서 코난 도일 재단은 옳은 선택을 한 것 같다.

 

"무슨 뜻인지 모르시겠습니까?" 존스가 물었다.
"전혀 모르겠는데요."
"그럼 제가 설명을 해 드리죠."

"경감님이 홈즈고 제가 왓슨이다, 이 말씀이죠? 뭐, 괜찮군요. 어쨋든 그 두 사람이 남긴 공백을 채워야 하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