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식탁 - 진화론의 후예들이 펼치는 생생한 지성의 만찬
장대익 지음 / 김영사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가 된 김영하, 그에 대한 평가에 내가 짠 건 아마도 빌어먹을 [무협 학생운동사] 때문일 것이다. 뭐 그보다 더한 실수도 숱하게 저지른 내가 대작가가 잠시 삐끗한 것에 이리 박하게 구는 건 너무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 소설이 나에게 준 충격은 그만큼 컸다. 좌우간, 이 경험 이후 나는 쉽게 풀어썼다는 모든 것을 의심하는 버릇이 생겼다. 처음에 장대익의 [다윈의 식탁]을 탐탁치 않게 여겼던 것 역시 이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다윈의 식탁]을 덮고 난 지금, 풀어쓰는 이야기가 지닌 힘을 제대로 실감하고 있다. 아마도, 이 책이 내 경험에 쌓인 풀어쓴 책들에 대한 혐오를 해독할 듯 싶다.  

사실, 진화 생물학이나 심화 심리학은 그냥 이야기하면 벽에 부딪히기 쉽다. 진화란 것이 어차피 추세로만 확인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추세에 맞지 않는 예외는 얼마든지 발견된다. 이야기 자리에서 이런 예외로 물고 늘어지면 좀처럼 제대로 답변하기가 쉽지 않다. 복거일의 말마따나 발화의 장에서 "단순한 밈"은 "복잡한 밈"보다 언제나 강하다. 어쨌든, 진화 생물학에 대해서 몇 번 이야기하고는 이걸 좀 쉽게 정리해서 누가 풀어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많았다. 물론, 이런 이야기를 푸는 방식에도 여러가지가 있을 터다. 그리고, 대개 가방 끈이 긴 사람들은 '개론'풍으로 차근차근 설명하는 방식을 즐겨 사용한다. 지식 전달자로서는 당연한 선택이겠지만, 이런 방식의 문제는 그리 재미있지 않다는 것이다. 대학 다닐 때, "개론"자 붙은 과목치고 재미있는 것이 있던가? (있었다면 당신은 유능한 교수를 만난 것일게다!) 

 결국, 이 대목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글재주일텐데, 일단 장대익의 덕목은 이 대목에서 빛난다. 다윈 이후 가장 맹렬하고 아름답게 폭발한 새로운 진화론을 세운 거인들 간의 논쟁이라니! 인간의 기억은 맥락과 함께 저장될 때 가장 생생하고 확실한 법인데, 이 점에서 이 책은 진화론이라는 보따리를 풀어놓는 가장 친절하고도 흥미로운 방식을 택한 셈이다. 그래서, 이 책은 내용과 상관없이 그 '설정'에서 먹어주고 간다. 해밀턴의 죽음을 계기로 모인 대학자들이 제한된 시간에 논쟁을 벌인다. 화자는 이 논쟁을 기록한 서기이고, 매 논쟁마다 그의 짧은 코멘트가 붙는다. 내러티브가 결코 내용을 대체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만, 훌륭한 내러티브는 당의정과 같아서 어려운 내용도 쉽게 소화하도록 도와준다. 이 점에서 이 책은 진화를 맛갈스럽게 잘 요리한 그 내용 뿐 아니라 책이라는 상품으로서 대단히 훌륭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셈이다. 

이렇게 잘 정리된 책의 내용을 반복한다는 것은 구차한 것일 터다. 개인적으로 느낀 아쉬운 세 가지만 짚고 넘어가자. 생물학 쪽의 쟁점들은--잘은 모르겠지만--비교적 잘 정리된 듯 하다. 하지만, 사회과학이나 인문학 쪽의 내용들은 불균등하거나 듬성듬성한 인상을 받았다. 진화 심리학의 대가인 데이비드 버스는 왜 이 장례식에 오지 않았는가! 첫장에서 "강간"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페미니즘과 온갖 종류의 대립각을 세워온 진화 심리학의 내용을 뒤에 기대했지만, 첫장 이후에는 이와 다시 조우하지 못했다.  

둘째, 메이너드 스미스가 진화의 속도와 그 해석에 관한 대목에서만 등장한 점 역시 아쉽다. 책에서 쟁쟁한 대가들을 불러 모았던 고 해밀턴과 그가  진화 게임이라는 대목에서 맺었던 긴밀한 관계가 있기에 더욱 그렇다. 책에도 잠깐 언급이 되었지만, 스미스의 진화 게임이론은 생물학적인 응용을 넘어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으로 그 폭을 넓혀 나갔다. 하긴, 이미 최정규 교수의 [이타적 인간의 출현]이라는 좋은 책이 있으니 관심이 있다면 이 책을 보면 되겠다. 

셋째, 마지막 종교에 대한 논쟁이 종합 토론처럼 들어가 있는데, 보다 폭넓은 주제에 속하는 문화 진화 역시 함께 어울렸으면 어땠을까? 예컨대, 인류학자인 보이드와 리처드슨에 의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문화 진화에 대한 논의 같은 것 말이다. 책에서 진화의 단위에 대한 논쟁이 등장하는데, 이른바 '다수준 진화'가 흥미롭게 적용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이 문화 진화이다. 문화와 유전자의 공진화, 문화 진화에서 집단과 개인의 관계 역시 진화론이 가장 흥미롭게 개입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닐까?
  

제 블로그인  http://www.lazycats.net 에도 있습니다. 오해는 없으시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