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멜
마우리체 필립 레미 지음, 박원영 옮김 / 생각의나무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쉰들러 리스트>가 나왔을 때 이렇게 생각했다. 왜 나찌의 유태인 학살을 고발한 작품보다도 그 학살을 줄여보고자 애쓴 한 가해자의 양심이 더 큰 호소력을 지니는 것일까? 당시 한 영화평론가는 영화의 호소력이 바로 ‘중산층적인 거리두기’에서 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피해자의 위치에 서는 것은 감정적으로도 꽤나 힘든 일이기 때문에 차라리 가해자라는 안전한 위치에서 양심의 모험을 거는 편이 낫다는 것이다. 맞나? 어쨌든.

마우리체 필립 레미의 [롬멜]은 나찌의 영웅 롬멜의 신화를 벗기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책의 의의라면 ‘군인’으로서 그리고 뛰어난 지휘관으로서 그가 지닌 진정한 용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롬멜은 히틀러를 더할 나위 없이 존경했고 국가사회주의의 이념에 찬동했지만, 그의 잘못된 결정에는 따르지 않았다. 그는 진정한 용기란 실수를 인정하고 후퇴할 줄 아는 것이라는 자신의 원칙에 충실했다. 때문에, 롬멜은 전쟁을 지속하려는 히틀러의 암살계획을 묵인했으며 체제 붕괴 이후 서방과 강화조약을 책임질 국가 수반의 자리까지도 염두하고 있었다고 한다. 책의 전략은 이처럼 롬멜에서 겹쳐진 신화와 영웅을 분리하는 것이다 . 다만, 책이 너무 사실에 매몰되어 롬멜과 나찌 체제의 관계, 특히 소련 침공의 좌절 이후 광기로 치닫던 체제의 단면을 드러내지 못한 점이 아쉽다. 롬멜이라는 인물의 굳은 의지는 잘 드러나지만, 그 의지가 체제 내에서 어떻게 좌절되었는지는 입체적으로 보이고 있지는 못하다. 전기문학으로서 인물과 역사를 잘 섞어낸 주세페 피오리의 [그람시]나 이론과 인물을 제대로 소화하고 있는 실비아 네이사의 [뷰티풀 마인드]와 비교해서 다소 격이 떨어지는 부분이라고 하겠다.

책을 통해 행간에서 엿본 나찌 체제에 관한 단상 두 가지는 이렇다.

우선, 나찌의 선전담당자였던 괴벨스의 의도와 역할이다. 괴벨스는 아프리카 전선에서 롬멜이 아프리카 전선에서 인상적인 승리를 일궈내자 그의 가치를 발견했고 그를 민족의 영웅으로 포장했다. 이때부터 롬멜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국가사회주의 아이콘이 되었다. 나찌와 같은 비정상적인 동원 체제에서 영웅의 존재는 매우 필수적이며 최고 통치자의 위치를 더욱 확고하게 만들어준다. 동시대인이든 과거의 인물이든 죽었던 살았든지 말이다. 박정희가 만들어낸 ‘이순신’의 신화, 김일성의 신화 등등에 대해 체제의 선전이라는 관점에서 재삼 음미해봐야 하지 않을까?

둘째, 나찌에 관한 경제사적 연구에 따르면 나찌 시대의 군비적 효율성은 서구의 상대국들에 비해 크게 뒤떨어졌다. 일사불란한 동원체제에서 그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지만, 사실은 오히려 반대라는 것이다. 나찌에서 관료제의 폐해는 카프카의 [성]을 떠올리게 할 정도이다. 롬멜이 히틀러 체제에서 느꼈던 절망감은 여기서 비롯된 것이 아니었을까? 히틀러의 총명함을 죽는 순간까지 신뢰했지만, 관료제는 히틀러의 과대망상증을 제어하기는커녕 오히려 순수한 형태로 전개되도록 부추겼다. 신하의 구름에 둘러쌓인 조선의 절대군주제와 나찌의 체제가 이 점에서 크게 다를까?

다시 처음 문제로 돌아가보자. 롬멜은 어떤 인물인가? 저자는 잘못된 신화에 유폐된 롬멜을 구하여, 한 사람의 지휘관으로서 그리고 말년에는 나찌에 반대했던 진정한 애국자로서의 면모를 살려내고자 한다. 하지만, 어쨌든 그도 나찌라는 거대한 시스템의 유지에 동조했다. 유태인 학살을 단 한번도 승인한 적은 없지만, 저지하고자 적극적으로 행동하지도 않았다. 롬멜이라는 인물에 대한 판단은 구조에서 비롯되는가 개인에게서 비롯되는가? 진부한 질문 같지만, 나찌와 같은 중요한 역사를 대면할 때면 어쩔 수 없이 튀어나오는 질문이다. 혹시, 롬멜에 더 주목하게 되는 이유가 제삼자로서의 편안함이라는 비열함 때문은 아닐까?

책은 모두에 롬멜이 '명백한 나찌이자 명백한 영웅'이라고 적고 있다. 이 딜레마가 좀 더 역사적인 형태로 서술되었더라면 훨씬 흥미진진한 책이 되었을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