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인간의 동반자
제임스 서펠 지음, 윤영애 옮김 / 들녘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예전에 개를 키운 적이 있는 나는 가끔 ‘개고기 논쟁’에 휘말리면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약간의 논쟁을 거쳐 사람들이 도달하는 합의점은 ‘키우는’ 개와 ‘먹는’ 개를 구분하자는 것이다. 즉, 먹는 개는 식용이기 때문에 아무런 죄책감 없이 먹어도 괜찮지 않겠냐는 것이다. 한번은 이런 의문이 들었다. 일부의 개는 원래 인간의 친구로 태어나고, 다른 일부의 개, 그리고 모든 소나 돼지는 원래 인간의 식량으로 태어나는 것인가? 동물에게 부여한 인간의 질서를 과연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제임스 서펠의 <동물, 인간의 동반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인간들은 잔인한 과정을 거쳐 도륙된 돼지를 태연하게 먹으면서도 애완 동물에 대해서는 그토록 한없는 애정을 쏟을 수 있는가? 서펠은 이러한 종류의 문제가 이른바 ‘사회과학’에서는 이상하게도 봉쇄되어온 질문이라고 지적한다.

서펠은 동물에 대한 인간의 태도를 단순한 차원으로 환원하려는 태도를 경계한다. 그는 애완동물이 다른 인간을 찾지 못해 끌어들이는 대용물이라는 해석, 인간정신이 지닌 미약함의 증거라는 시선, 그리고 잉여생산물의 존재와 함께 등장한 기생성의 단편이라는 비판 모두를 거부한다. 서펠은 애완동물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의학적인 증거와 역사적인 지식을 넘나들며 솜씨있게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적인 관점과 단순한 설명을 거부하는 대신, 서펠은 동물이 인간 사회에 정서적인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약하게’ 수용한다. 즉, 인간 사회에 대한 동물의 독특한 기여가 그들을 인간의 친구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사실, 동물에 대한 이러한 갑론을박은 서펠에게는 하나의 징검다리이다. 그는 여기서 자연에 대한 인간 중심의 신화를 추적한다. 그는 전형적인 사냥꾼과 채집자들은 자신의 사냥감을 열등한 존재로 보지 않았다고 말한다. 이들에게 동물은 정복해야 할 대상이라기 보다는 동반자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농경사회는 전체 시스템이 자연 정복 그리고 생물에 대한 지배와 조작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생산 조건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의식 속에 더욱 많은 균열을 일으켰고, 이는 어떻게든 봉합되어야 했다. 그리고, 자연 앞에 우뚝 선 인간이라는 관점이 그 역할을 담당했다. 서펠은 이러한 지배와 패권에 대한 집착, 그리고 이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가 다시 인간을 향해 겨눠진 것이 ‘제국주의’와 ‘노예제’라고 말한다.

개인적으로 농경 사회로의 전환에 대한 서펠의 관점이 매우 신선했다. 생태학에 큰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생태’라는 좌우를 아우르는 모호한 정치적 구호 속에 느꼈던 일말의 찜찜함이 해소되는 느낌이었다. 정교한 생태학이랄까? 서펠은 자연에 대해서 어떤 관점을 지니는지가 중요하다는 기본을 전혀 다른 방향에서 일깨워주고 있는 셈이다.

서펠의 인식론적인 전환은 분명 값진 것이다. 하지만, 망설여지는 부분이 없다면 거짓일 터이다. 자연에 대한 정복적 관점이 결국 인간에 대한 착취를 낳았다면, 관점의 탈식민화를 통해서 반대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을까? 여전히, 비참한 인간사회에 눈을 돌리는 것이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건 아직 근본적인 전환을 이루지 못한 탓일지 모른다.

언제나 그렇듯이, 전선은 하나씩 차례대로 걷어나가는 것이 아니다. 모두가 한번에 움켜쥐고 맞서나가는 것이 싸움인 법이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