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늘도 1 : 사랑하다 나는 오늘도 1
미셸 퓌에슈 지음, 나타니엘 미클레스 그림, 심영아 옮김 / 이봄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나는 오늘도 시리즈도 이제 거의 다 읽어간다. 이 시리즈는, 늘 어떠한 동사에 대하여 여러가지 의미들을 짚어주었기에, 사랑하다는 동사에서도 역시 그럴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상하게도 사랑하다는 이 주제에 대해서만은 남녀의 사랑만을 주요한 주제로 다루어서 사실, 책을 접한 것이 일렀나 하는 생각을 했다. 요즘 더러 '책에도 적절한 시기가 있다'는 말이 유난히 와닿는데, 두고두고 읽어도 좋은 책도 있지만, 특정 시기가 지나야만 읽기에 적절한 책들도 분명히 있다는 생각이다.

 

 상대의 아름다운 외모, 장점들(유머감각, 준비된 태도, 관대함, 정직함 등등)은 사랑의 일부이기 때문에 부끄러워할 일은 아니지만, 사랑은 이런 이유들만으로 완전힌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누군가를 사랑할때, 우리는 그의 아름다움이나 유머, 장점, 특별한 점들 또한 좋아하지만, 이런 것들이 그 사람을 사랑하는 충분조건이 되지는 않는다.  -38,39p

 나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해 '감흥'이 없어져가는 것 같다. 그것이 남들처럼 사랑의 비참함과 고통을 뼛속까지 느껴보고 나서야 사랑에 대한 신뢰가 사라져가, 이제 두근거리지 않는것 같아인것이 아니라 그냥 그렇다. 그렇게 가슴아파하는 것도, 자신이 모든 것을 주지 못해 안달하는 것도, 때로는 이해하지 못해 눈물을 흘리는 것도 실상 나에게는 그다지 와닿는 감정은 아니다.

 나는 '사랑이란 우정의 변질'이라는 말을 종종 하곤 하는데, 남녀간의 사랑에도 호르몬이 작용하는 그 강력한 시기를 빼고나면 그다음을 지속시켜주는 것은 '우정'과 크게 다른 감정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단지 우정에는 콩깍지가 쓰인 시기가 없지만, 사랑에는 그 시기가 존재할 뿐.

 사람과 지내다보면 동성,이성의 관계를 벗어나서 정말 미운데도 미워할 수 없는 사람들이 생긴다. 그 과정이전에 호르몬의 작용을 받은 이성관계라면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연인이 되고 부부가 되는 것은 아닐까.

 

 그의 행동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어요. 다른 사람이 그랬으면 짜증나고 한심하게 여겼을 텐데... 하지만 나는 그를 사랑해요! 사랑하니까, 판단해서는 안되고,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사랑해야 하겠지요... 하지만 어디까지 그래야 하는 거죠?  -62,63p

 나는 그 단계를 넘어섰을때의 '서로에 대한 감정이 달라져야한다'는 또 다른 고정관념이 싫어서, 그 단계를 넘어서기가 꺼려진다. 남녀간의 사랑도 어찌보면 인간 대 인간의 만남인데, 그 사람의 단점이 보이면 억지로 이해를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이 사람은 내 운명이 아니었나하고 번뇌한다는 건 이상하다는 생각이 든다. 우정이란 관계도 서로의 장단점을 품어가는 과정인데, 친구와의 관계에서는 사소한 단점들은 술자리등을 통해서 털거나, 큰 감정의 동요없이 품어주지 않는가. 사랑이라는 감정이란, 정말 그렇게 유난을 떨어야만 하는 감정인걸까? 내 편을 하나 얻었다는 자연스러운 감정만 남길수는 없는 걸까? 왜 사랑을 하는 사람들은 다들 항상 불안에 떠는 것처럼 보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