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남자네 집
박완서 지음 / 현대문학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을 읽으며 <가지 않은 길>이란 프로스트의 시를 떠올렸다. 가지 않은 길에 대한 미련과 그리움, 환상을 한 번이라도 품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마는, 작가는 선택에서 제외된 길을 되짚어 올라가 봄으로써 미완의 첫사랑을 완성시킨다. 그런 일이 실제로 가능할 것이냐는 의문은 중요하지 않았다. 노련하고도 노련한 작가의 솜씨는 재미라고는 도통 없을 법한 이야기를 맛있게도 써내려 가니까.


‘나목’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오만과 몽상’ 등의 초창기 적 소설들을 20대에는 나오는 족족 사서 보았다. 왜였을까. 강렬한 인상을 남길 만한 작품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소설이라면 무조건 읽던 시기였기 때문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읽은 게 산문집 ‘왜 나는 작은 일에만 분개하는가’였다. 읽노라면 공감을 하지만 지루해서 몇 번을 쉬었다 가는, 내 세대와는 거리가 먼 얘기들이라고 단정을 해서, 언젠가부터 책꽂이에서 그녀의 소설을 찾을 수가 없게 되었다는 변명 아닌 변명을 굳이 하는 이유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청산유수와도 같은 이야기가 막힘없이 흘러가는 이 소설은 새로울 것 없는 과거를 거슬러 올라간다. 어떤 세대에게는 분명 감동과 살가움을 던져 주었을 풍경과 기억들이 여전히 낯설고도 멀다. 그래서 이야기를 읽지만 감정들이 춤을 추지는 않는다. 오히려 소설 자체보다도 오래전에 기억하던 작가의 새로운 책을 만났다는 기쁨, 날 때부터 소설가로 살아가도록 태어난 사람이라는 부러움과 동경, 주름 깊은 작가의 평화로운 얼굴에서 휴식을 얻어간다.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인 인물은 그 남자의 어머니였다. 그 남자가 입던 런닝구와 빤쓰를 주워 입고 행복해하는 노파를 보며 화가 나기도 하고 슬프기도 했다. 그것은 가슴이 저미는 감동보다는 외면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하는 질기 디 질긴 정의 굴레였다. 그 남자의 철없는 패악과 냉대를 감수하고 또 감수하는 늙은 노모를 보면서, 아들내미의 밥상에 맛난 밥과 반찬을 올리는 것을 낙으로 여기는 시어머니를 보면서, 양색시 노릇으로 동생들을 먹여 살린 춘희를 보면서, 희생이란 얼마나 일방적인 것인가를 새삼 생각했다. 그리고 나는 마지막 페이지의 다음 글이 참 좋았다. '우리의 결별은 그것으로 족했다.' 첫사랑의 남자를 향한 그 단호함이 소설 읽기를 끝낸 내 마음과 닮아서였나. 


........ 우리엄마 너무 말랐더라. 그 남자가 말끝을 흐렸다. 울고 있었다. 점점 더 심하게 흐느끼면서 볼을 타고 눈물이 줄줄 흘러내렸다. 나도 애끓는 마음을 참을 수 없어 그 남자를 안았다. 그 남자는 무너지듯 안겨왔다. 우리의 포옹은 내가 꿈꾸던 포옹하고도 욕망하던 포옹하고도 달랐다. 우리의 포옹은 물처럼 담담하고 완벽했다. 우리의 결별은 그것으로 족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05-02 23: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겨울 2005-05-02 2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드무비님 감사! 고쳤어요. ^^

프랜치스 2005-05-04 1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땡스투를...^^

겨울 2005-05-04 2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프랜치스님, 반갑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