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이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한강의 ‘몽고반점’을 읽었노라 하셔서, 나는 엇비슷한 시기에 읽은 작년도 수상작인 김훈의 ‘화장’ 이야기를 건넸다. 매해마다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구매하시는 분인지라 꼼꼼히 읽은 뒤에 빌려주겠노라 하셨는데, 솔직히 나는 김훈의 ‘화장’도 상당히 거북하게 읽은 후였다. 그의 에세이는 더러 접했어도 소설로는 아마도 처음일 ‘화장’은 작가에 대한 호감도가 반으로 싹둑 잘리고야 말았다. 


이 소설은 뇌종양에 걸린 아내의 길고 긴 투명생활과 그 죽음의 과정을 다루었는데, 그 지독히도 건조하고 사실적인 문장에 맞물려 여자, 아내를 바라보는 남편, 작가의 시각에 기가 질렸다. 이 소설이 말하고자 하는 의도나 작품성과는 별개로 남편의 눈으로 바라보는 아내의 치부들, 실수들, 병이 가져온 생생한 고통의 흔적과 소리, 냄새를 쫓아가는 무감각한 사유가 그렇게 싫을 수가 없었다. 그것이 입장을 바꿔 남편에 대한 아내의 눈이었다면 어땠을까 라는 가정을 할 정도로. 김훈이라는 작가는 이 시대의 보편적인 정서를 가진 남자이니 당연하지 하면서도 불편했다.


소설 속의 남편은 회사에서 유능한 간부사원이면서 같은 회사 여직원을 사모하고 있다. 남편은 아내의 퇴색하고 늘어진 살갗을 보면서 젊고 싱싱한 여직원을 떠올린다. 그리고 죽은 아내의 영정을 앞에 두고도 사모하는 여직원을 생각한다. 아름다움과 추함, 산 것과 죽은 것의 가치 앞에서 절절한 고통 끝에 죽은 반려에 대한 애통함은 그림자도 없다. 그 죽음이 아무리 필연이고 삶보다 나았다고 해도 말이다.


죽음, 늙음은 흔한 소재다. 다루는 방식도 각양각색이다. ‘화장’은 삶과 죽음, 결혼 그리고 부부, 남자와 여자라는 존재에 대한 많은 생각을 낳는다.  ‘화장’은 병과 죽음 앞에 선 아내들로 하여금 이 세상에 남겨질 남편을 떠올릴 것 같다. 타인보다 낯선 남편이라는 관찰자의 차갑고 메마른 시선에 노출된 약한 존재로서의 아내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