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불행히도 아직까지는 신경안정제를 복용해본 기억이 없지만, 추측하건데 그 효과가 어쩌면 이 소설을 읽는 즐거움과 비슷하지 않을까하는 엉뚱한 생각을 했다. 생활이 고프거나 숨이 턱턱 막히는 고민이 생기면 나는 종종 소설 속으로의 도피를 시도한다. 다행히 그렇게 선택한 소설이 탁월한 약효를 발휘하면 좋은 거고 아니어도 그만이지만 이제 막 읽기를 끝낸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은 오랜만에 기분을 상승시켰다.

맞아, 맞아. 작가가 개그처럼 풀어놓은 70~ 80년대의 풍경에 고개를 주억거리는 세대이기에 가능한 이해가 아니라면 이 소설은 지나치게 가볍고 취향과도 거리가 멀며 더구나 삼미라는 야구단이 있었는지조차 알지 못하는 인간이다. 그러나 야구를 몰라도 된다는 누군가의 조언처럼 여기서 야구는 메이저의 상대적인 마이너를 대표하는 매개일 따름이다. 그들의 결성과 실패는 이미 예정된 각본이었고 야구역사에 길이 남는 기록을 상징과 예시처럼 끌어안은 우리의 주인공들의 삶도 비상과 추락을 거듭하면서 구도의 길을 걷지 않던가.

잘 팔리고 잘 읽히는 소설의 코드에는 그 시대의 모순을 적나라하게 담기 마련이다. 웃음이 입술을 비집고 나오는 에피소드들이 줄지어 있지만 회한과 비애를 깔고 있다. 누구나 일류를 지향하지만 누구나 일류가 되지는 못한다. 순위에서 탈락하고 밀리고 밀쳐지고 선택에서 제외되는 부지기수의 인생이 대부분이다. 버리라, 그러면 얻을 거라고 했던가. 물론 그런 재수가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요지경도 있긴 하다. 세상에 이런 일이... 지만.

다시 부활한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이 있고 종착역은 결국 출발지점이라는 새로울 것 없는 진리에 탄복하면서 이 가벼운 소설에서 다른 이들은 어떤 무거운 짐을 덜어내었는지 몹시 궁금해졌다. 소설 한 권에 덜어질 짐이라면 굳이 짐이라고 부르지도 않을 터이지만 때로는 유행가 가사 한 구절에 눈물 주룩주룩 흘리고 반 잔의 소주 속으로 침잠하는 낭만이 절실한, 지금은 그런 시절이다. 진짜 인생은 삼천포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