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개나리, 진달래, 살구꽃, 복숭아꽃이 담장을 넘어 짙은 향기와 빛깔로 가는 발걸음을 잡아끈다. 아침과 저녁으로 발돋움하여 남의 집을 엿보는 버릇이 생겼는데 오늘 퇴근 길에는 키가 작아 숨어 있던 동백꽃도 보았다. 동네 어귀에 있는 그 집에는 어지간한 과수는 다 있다. 사과에서 배, 은행나무, 살구, 대추도 있고 모과나무도 있다. 다른 것은 그다지 탐나지 않는데 주먹만한 풋사과가 열리면 어찌나 먹음직스러운지 도심에서는 쉽게 보기 드문 풍경인지라 매번 넋을 놓았다.
집안에 그만한 과수들을 키우자면 어지간히 부지런을 떨지 않고서는 관리가 불가하다. 봄가을로 꼬이는 병충해며 지저분하게 날리는 낙엽이며 마당이 왠만큼 넓지 않으면 이웃들에게도 민폐고 아침 저녁으로 하는 청소도 다음날이면 언제냐 하면서 너저분하기 일쑤다. 그런데 사과나무가 있는 그 집 주변은 늘 깨끗하다. 부지런한 주인을 둔 모양이다. 동네에서 그렇게 잘 키운 나무가 있는 집을 오가며 구경하는 즐거움은 참으로 크나크다.
꽃들의 아낌없는 잔치가 한창이지만 극도로 피폐해진 경제는 사람들의 목을 조이고 있다. 건강 하신가요, 별일 없으신가요 라는 가벼운 문안 인사조차도 건네기가 조심스럽도록 살림살이는 힘겹단다. 까맣게 달구어진 얼굴로 종일 길바닥 한 모퉁이를 차지하고 앉아있는 할머니, 아주머니들을 보노라면 창백한 내 피부가 부끄러울 때가 있다. 그들은 시골에 계신 내 할머니, 내 부모님의 다른 모습이다. 소수의 사람들은 여전히 경제의 널뛰기와는 무관하게 보장된 미래에 안주하지만 그들을 제외한 다수는 하루하루 불안과 근심 가운데 잠을 이루지 못함을 안다. 문득, 강자에게는 약하고 약자에게는 강한 척하는 나를 발견할 때의 부끄러움처럼 현실의 내가 배고픔을 모른다고 세상에 배고픈 자를 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꽃들이 만개한 이 봄날 생각이 어지럽다.
남들이 밟아 올라가는 계단 대신에 아무도 가지 않는 울퉁불퉁한 길만을 골라 소신있게 살았다고 자부하면서도 마음 한켠에서는 그런 나를 부끄러워했다. 늘 입으로는 선택이었다고 하면서도 결정적인 순간에는 부모님을 원망하고 있는 나를 발견했다. 입으로 뱉어내지 못하는 비밀은 때때로 가슴에서 병이 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늙어가는 부모님의 모습이 또 다른 상처가 되고 있다. 용서받지 못한 잘못들이 곪아 종기가 되었다. 여자는 결혼을 통해 망각의 강을 건넌다고 했던가. 남자건 여자건 결혼을 해서 새 가정을 이루게 되면 과거와는 자연스럽게 절연을 한다. 그렇다면 결혼에는 뜻이 없는 나는 결코 과거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