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째서 그 열 살짜리 말라깽이 소녀가 이토록 오래 마음에서 떠나지 않는 것일까........

그녀는 방과후에 다가와 내손을 잡았다. 그 사이에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그저 그것뿐이다.

하지만 아오마메는 그때 그의 일부를 가져가버린 모양이다. 마음이나 몸의 일부를. 그리고 그 대신 그녀의 마음 혹은 몸의 일부를 덴고 안에 남기고 갔다. 아주 짧은 시간에 그런 중요한 주고받음이 이루어졌다. (BOOK2,110페이지)

 

디킨즈의 소설에 나오는 고아들처럼. 상처받은 영혼이 상처받은 또 다른 영혼에게 끌리듯이 그렇게 무심코 다가갔던 소년과 소녀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스침과도 같은 마주침의 기억이 영혼에 각인되었다. 삶의 목적이 되고 존재의 이유가 될 만큼의 무게감이다.

 

손에서 놓을 수가 없도록 재미있다. 아주 빠르게 읽힌다. 무섭고도 두려워서 타본 적 없는 롤러코스터가 이럴까. 흥미와 스릴, 연민과 안타까움, 조바심과 기대치의 카타르시스가 마치 내면에서 폭발하는 듯했다.

 

덴고와 아오마메. 그들이 언제쯤 어떻게 만나질까 하는 당연한 기대는 나뿐일까. 이 소설에 빠져든 사람 전부가 아마도 똑같은 예상과 추측을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당연함이 비극의 전조라는 것도 짐작한다. 그렇지 않다면 너무 평범해져 버리니까. 
 

후카에리는 부서질 듯 연약한, 매혹적인 이미지에 반하여 실제는 팜므파탈적이다. 의도하였건 의도하지 않았건 그녀의 ‘자각’으로 인해 시작되었으므로. 아버지, 후카다가 리시버가 된 것도 그로인해 참을 수 없는 고통 속에 던져진 것도, 의지와는 무관하게 십대의 어린 소녀들과 성관계(다의적인 교접)를 가지게 된 것도 그리하여 아오마메로 하여금 그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는 것도, 모두 시작은 후카에리였다. 그녀는 아오마메가 간절히 간절히 원하지만 가지지 못했던 사람(혹은 사랑)도 아주 쉽게 갖는다. 나는 아무것도 몰라요 라는 선한 눈망울로 응시하면서. 한 세계를 깨웠고 그 세계에 반하여 도피하여 ‘공기번데기’라는 소설을 세상에 내놓아 대항마를 세운 장본인이다.

 

내 의문은 새로운 리시버가 된 덴고의 역할이다. 그는 첫 번째 리시버였던 후카다와 다른 역할인가. 죽음에 이르러 공기 번데기가 된 아오마메를 과연 구원할 수 있을까. 그들의 사랑은 이루어질까. 후카에리는 선일까 악일까.

 

이 세상에는 절대적인 선도 없고 절대적인 악도 없어. 선악이란 정지하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항상 장소와 입장을 바꿔가는 것이지. 하나의 선이 다음 순간에 악으로 전환할지도 모르는 거야. 중요한 것은 이리저리 움직이는 선과 악에 대해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지. 어느 한쪽으로 지나치게 기울면 현실적인 모럴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돼. 그래, 균형 그 자체가 선인게야. (book2,289p) 
 

아오마메, 나는 반드시 너를 찾아낼 거야~  

무슨 일이 있건, 그곳이 어떤 세계이건, 그리고 그녀가 누구이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