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덥석 손이 가서 읽어지는 책이 아니었다. 몇 번이나 제목만을 읽고는 지나쳤다. 결국에는 에라 모르겠다 싶어(딱히 읽을 게 없기도 했지만) 읽고 말았다. 역시나 눈물 콧물 징징 흘리고 아침에 눈이 퉁퉁 부은 눈을 얼음으로 찜질하는 사태 발생했지만, 오랜만의 만족스런 책읽기였다. 냉동실 구석, 무척 오래된 청국장 한 덩이를 발견해 끓여놓고는 그 여전한 맛에 새삼 놀라는 기분이랄지. 암튼, 제목 타령에 대한 변을 하자면 ‘엄마’라는 단어가 세상 누구에게나 그리움의 원천은 아니라는 거다. 모정의 축복이 비처럼 내리기도 하지만, 에누리도 없이 가혹하게 버림받는 경우도 있고, 극단적인 좋은 엄마가 절반이면 나머지 절반의 나쁜 엄마가 있기 마련이다.
그러니까 엄마가 그리운 사람들이 읽고 지나간 자리에 남아서 뒤늦게 그런 ‘엄마’를 가져보지 못한 사람이 읽을 수도 있다는 뭐 그렇고 그런 넋두리인 셈이다. 나의 어린 시절 엄마의 자리에는 늘 할머니가 계셨다. 소풍 때도, 장에 가는 날도, 논일 밭일을 하던 아스라한 기억 속에도 온통 할머니 뿐, 어디에도 엄마는 없었다. 돌아가신 것도 아니고 같은 집에 살고 있었는데, 왜 그랬는지 당사자인 엄마에게 물어본 적이 없으니 여전히 모르겠다. 그런고로 내게 ‘엄마’라는 호칭은 낯설음이다. 부르기 위해 있는 이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아무런 감동도 여운도 느껴지질 않는 글자다. 자라면서 내 엄마가 보통의 다른 엄마들과 다르다는 깨달음은 고스란히 상처로 남았다. 다르다는 건 그게 무엇이든 행복과는 멀어지게 마련이다.
그래서 노련하고 노련한 언어의 연금술사가 빚어놓은 ‘엄마’가 참 부러웠다. ‘엄마’의 고통스런 세월에 눈물 흘리고, 분노하고, 안타까움을 느끼면서도 그녀가 탐났다. 내 눈물은 그녀가 가여워서이기도 했지만 가질 수 없었던 것에 대한 욕심이었던 것이다. 소설가라는 예술가가 빚어놓은 ‘엄마’는 전설 속의 영웅이나 다를 바 없다. 동경하고 원하고 탐이 나지만, 소망일뿐이다. 내 것이 될 수 없는 타인이 것을 향한 시기심, 질투, 분노로 인한 외면이 이 책에 대한 솔직한 평가다. 물론 ‘엄마’에 버금가는 할머니가 계셨고, 그걸 자랑스러워했고, 아직도 최고라고 믿지만 마음 구석에는 빈자리가 있고, 그것은 무엇으로도 채울 수 없다는 것도 알고 있다.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로 소설은 시작한다. 길을 잃으신 할머니가 파출소에 계시다는 전화를 받고 달려간 어느 날의 저녁이 떠올랐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 생각나지 않았다는 할머니를 잡고 엉엉 울었던 기막힌 기억. 그렇게 몇 번이나 할머니는 길을 잃고 해매셨다. 그게 치매의 시작인줄 그때는 몰랐다. 소설 속 ‘엄마’에 버금가는 할머니의 굴곡진 삶은 내게도 우산처럼 드리워져 영향을 미쳤다. 전쟁과 가난 속에서 두 아들을 잃는 고통에 이르기까지 현재의 눈으로는 도무지 있을 법하지 않은 소설 같은 얘기들을 인이 박히도록 듣고 또 들었다. 이제는 귀도 눈도 기억도 온전하지 않은 할머니께 이 소설을 읽어드려야겠다. 여기 할머니처럼 산 ‘엄마’ 이야기가 있노라고. 할머니처럼 그녀도 과거의 망령에 시달리고, 후회하고, 원망하고, 죽은 이를 그리워하고, 고통에 사무쳤노라고. 그리고 마지막에는 엄마를 부르며 엄마와 살았던 집으로 돌아갔노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