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바케 - 에도시대 약재상연속살인사건 샤바케 1
하타케나카 메구미 지음 / 손안의책 / 2005년 9월
평점 :
절판



 

기대하고 상상했던 딱 그만큼의 이야기다. 귀엽고 병약하고 착한 도련님과 무척 힘센 두 요괴가 일단은 주인공이다.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설정이지만 뭐 어떤가. 재미를 우선으로 추구하는 인간인지라 비슷하거나 닮은 건 오히려 실보다는 득이다. ‘백귀야행’이라는 만화의 열혈 팬으로 감질나게 보여주는 에피소드가 아쉬워 한숨(?)이 절로난다면 두말이 필요 없다. 

 

사랑스러운 도련님을 보필하는 요괴에게는 반드시 여느 요괴와는 다른 숨은 능력이 있게 마련. 사스케와 니키치도 그런 존재들이다. 인자하고 다정한 어머니가 되기도 하고 엄한 아버지가 되어 거짓말을 하는 도련님을 나무라지만, 첫째도 둘째도 도련님의 안전과 건강을 위하고 보필하는 대요괴들의 충직함은 살짝 놀랍다. 이치타로의 탄생에 얽힌 비화가 드러나는 본문을 읽은 후 납득하게 되었지만 ‘사람도 요괴도 아닌, 기묘하게 생긴 생물’같은 손자를 보호하기 위한 할아버지의 안배가 두 요괴의 존재이유였다. 또한, 거기에는 손자를 위해 사랑하는 아내를 잃어야했던 비극적이고 놀라운 가족사가 숨어있기도 하다. 꼭 그래야했을 지는 무의미한 의문이다. 그것은 엄마라는 존재의 슬픈 염원이니까. 지독히도 아이를 원하는 저주에 가까운.

 

공포영화나 귀신 이야기를 싫어하는 것과 별개로 요괴가 난무하는 세계를 동경하고 상상하는 이유는 친근함 때문이다. 주변의 오래된 사물에 깃든 이런 저런 요괴의 일상을 받아들이는 건 복수와 원한의 산물인 토속적인 귀신들과 조우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문제다. 반쪽요괴가 된 먹줄통의 원한으로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우리의 도련님이 병약한 몸을 이끌고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보면 무시무시한 공포와는 거리가 먼 연민과 동정이 앞선다. 백 년을 채워 겨우 요괴로서의 영생을 얻으려는 찰나 안타깝게도 먹줄통이 깨졌다. 완전한 요괴가 되고자하는 먹줄통의 집념이 잔혹한 살인을 불렀지만, 그것도 반혼향을 얻어 죽은 혼조차 살려낸 누구에 비할 바가 아니다. 도련님의 의연함에 깃들인 사유의 조각에는 그런 깨달음이 깃들어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