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통을 옮겨라 큰숲동화 17
황복실 지음, 어수현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리통을옮겨라 #황복실 #뜨인돌어린이 #알란책방 #서평도서 . .


1990년 조선, 귀신 들린 소리통이 바다를 건너 왔다. 이건 무슨 이야기일까? 정월이는 공부도 하고 싶고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 게 많은 여자아이다. 하지만 아버지는 시집 갈 준비를 하라고만 한다. 조선시대의 여자들의 삶은 익히 알고 있기에 밝은 정월이가 안쓰럽다. 대구에 온 존슨 의사와 부인 이디스는 처음에 이 곳에 왔을 때 소문이 흉흉했지만 정월이는 이들을 따라 뭐든 배우고 싶어했다. 교회당에서 글도 배우고 창가를 배울 수 있게 되었다. 이들이 살고 있는 마을에 소리통이라는 것이 도착한다. 바로 피아노. 이 사람들이 보기에 커다란 궤짝에서 소리가 나니 얼마나 놀랐을까? 📖 서슴없이 피아노를 만지던 정월이도 소스라치게 놀라 저만치 달아났다. 괴이한 소리를 내는 귀신통 옆에 선 에피와 이디스까지 영락없는 서양 귀신처럼 보였다. p44 처음 피아노가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때 과연 어땠을까? 누가 제일 먼저 갖고 왔고, 누가 제일 먼저 연주했을까? 그 때 연주한 곡은 무엇이었을까? 찾아보았다. - 기독교 선교사 사이드보담(1874~1908, 대구 지역 5대 선교사) 부부의 피아노가 1900년 3월 26일 화원의 사문진 선착장(현, 화원 유원지)에 도착하였으며, 3일 후 피아노가 대구의 남성로에 위치한 자신의 집까지 옮겨졌고, 어린이 성경교육에 이용되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 피아노를 어떻게 옮겼을까? 힘이 센 정월 아버지와 마을 아저씨들은 커다란 상여를 만들어 피아노를 올렸다. 무거운 피아노를 사람이 짊어지고 옮겨야 했다. 그러니 며칠이 걸릴 수 밖에. 📖 마을길은 몹시 좁아서, 상여를 메고 그 길을 지나는 것은 맞지 않는 작은 옷에 큰 몸을 우겨 넣는 것과 같았다. p77 지붕을 헐기도 하고 진흙 속에 발도 빠진다. 결국 부상자가 생기고 만다. 과연 이 피아노를 교회당까지 옮길 수 있을까?


'새야새야 파랑새야'라는 음악이 피아노에서 나오기 시작하자, 창가를 부른다. 처음 피아노 소리를 들었을 때 황홀했을 것이다. 지금도 행복이의 피아노 연주를 한 번씩 들으면 참 기분이 좋다. 서툴지만 끝까지 한 곡을 다 연주하는 걸 들으면 기특하다. 파랑새 문진을 놓고 책을 읽으니 책 속 파랑새와 문진 속 파랑새가 만났다. 피아노 음악을 틀어놓고 읽으면 더 좋을 #역사동화 한 편. 추천하고 싶다.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신간도서 #동화 #추천동화 #역사 #피아노

서슴없이 피아노를 만지던 정월이도 소스라치게 놀라 저만치 달아났다. 괴이한 소리를 내는 귀신통 옆에 선 에피와 이디스까지 영락없는 서양 귀신처럼 보였다. - P44

마을길은 몹시 좁아서, 상여를 메고 그 길을 지나는 것은 맞지 않는 작은 옷에 큰 몸을 우겨 넣는 것과 같았다. - P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