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는 강하다
김청귤 지음 / 래빗홀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리는강하다 #김청귤 #래빗홀
#판타지 #좀비 #청소년소설 #가족
#서평도서 #알란책방
.
.
굉장히 발랄한 느낌의 소녀가 어딘가를 향해 달려가는 모습의 책표지에 명랑한 청소년소설이라고 생각했다.
의외로 좀비물이었고, 가족소설이었다.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박감에 책을 펼치고 쭉 읽었다.

부모님의 이혼으로 할머니가 있는 태전시로 이사를 온 하다. 고3에 전학을 한 탓에 왕따 아닌 왕따를 당하게 된다. 하다 역시 관심을 갖고 싶지 않았기에 평화로운 일상을 보내던 중 갑자기 태전시는 긴급봉쇄되어 갇히게 된다.
좀비로 변한 사람들의 특징을 살펴보니 65세 이상의 노인, 치매를 겪기도 했다.
강하다는 나가고 싶지만 할머니를 두고 갈 수 없다. 결국 할머니와 태전에 갇히게 되고 엄마는 다른 지역에서 들어올 수도 없게 된다.

🏃‍♀️ 좀비가 사람을 먹지 않고 공격만 해서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한 사람이 아스팔트 위에 피를 흘린 채 누워 있었다. 죽은 사람에게 흥미를 잃은 듯 좀비들은 살아 있는 남자를 둘러쌌다. p58

아파트 베란다에서 좀비의 움직임을 보고 있다. 주차장을 가득메운 좀비들을 보며 나가지도 못하게 꼼짝없이 갇히게 된 주민들. 다들 태전시를 빠져나갔지만 미쳐 나가지 못한 강하다와 할머니, 그리고 다리를 다친 은우, 애기엄마인 지혜이모와 아기 그리고 할머니가 애타게 찾고 있는 현동할아버지까지. 겨우 연락이 된 다른 가족들에게 구하러 오라고 했을 때 어떻게 거길 가냐고 하는 남편의 말에 아기엄마는 넋을 놓는다. 남겨진 사람들끼리 이 난관은 헤쳐나가기 위해 고군분투 한다.

🏃‍♀️ 자리를 잡고 가방을 채우기 시작했다. 분유를 제일 먼저 넣고 한우를 빈 곳에 넣은 다음에 생리대를 뜯어 사이사이를 메웠다. 최대한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채우니 흔들리지도 않고 다그락거리는 소리도 덜 나는 것 같았다. p90

누구도 도와줄 수 없는 상황에 하다는 노인좀비들 보다 빠르다는 이유로 마트에 분유를 가지러 간다. 내 아이를 위해 위험한 밖으로 다녀오라고 다른 집 아이에게 부탁할 수 있을까? 사람의 말은 강하다. 이 책의 주인공 '강하다' 역시 내면이 단단한 아이이고 강하다.

소설은 후반부로 갈 수록 더 상황이 쪼여들고 나빠진다. 또 다른 사람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부모도 없이 혼자 집에 갇혀 있던 1학년 아이를 발견한 것이다. (이 아이 이름이 우리 딸과 성까지 같아 집중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아이도 놓치지 않는 하다.

🏃‍♀️ 엄마에게 가지 말라고 떼를 쓴 적은 없지만, 엄마에게 모든 감각을 곤두세웠던 나와 지금의 지민이는 크게 다를 게 없었다. p157

그 아이는 얼마나 공포스러웠을까? 또한 할머니를 보고 망설이는 아이를 보는 하다는 또 얼마나 답답했을까?
할머니는 매일 아이들에게 먹일 식사를 준비한다. 남이었던 사람들이지만 이제 한 끼니를 함께 할 식구가 되었던 것이다.

🏃‍♀️ 가족을 다른 표현으로 식구라고 하잖아. 식구라는 단어가 같이 지내면서 밥 먹는 사람이래. 너, 할머니가 해준 밥 많이 먹었지? 네가 만든 빵이랑 쿠키도 우린 다 같이 먹었고. 그러니까 너도 우리 식구야. 알겠어? p180

다리를 다친 은우를 두고 가족들을 모두 떠났지만 은우를 업어 데리고 온건 이웃 강하다 였다. 밥을 먹인 건 이웃 할머니였다.
요즘 혐오를 가리지 않고 그냥 필터없이 드러내고 있는 이들이 자주 보인다. 나는 'T'야 라는 말을 하며 자신의 독설을 이성적인 발언으로 포장한다. 인정이 넘치진 않더라도 상대를 배려할 수 있는 말을 하고 좀 더 이웃에게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 강하다와 함께 살아 있는 식구들은 배제와 혐오가 아닌 연대로 우리에게 답을 알려준다. - 김혜정 작가

단순 좀비물이 아니라 세상을 향해 뛰어 나갈 수 있는 용기를 강하다에게서 배울 수 있었다. 나이가 든 것이 곧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니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행할 수 있는 할머니에게 용기를 배웠다.
딸에게 적극 권하고 싶은 책이다.

#신간추천 #추천도서 #청소년소설 #장편소설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book #booklover


자리를 잡고 가방을 채우기 시작했다. 분유를 제일 먼저 넣고 한우를 빈 곳에 넣은 다음에 생리대를 뜯어 사이사이를 메웠다. 최대한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채우니 흔들리지도 않고 다그락거리는 소리도 덜 나는 것 같았다. - P90

가족을 다른 표현으로 식구라고 하잖아. 식구라는 단어가 같이 지내면서 밥 먹는 사람이래. 너, 할머니가 해준 밥 많이 먹었지? 네가 만든 빵이랑 쿠키도 우린 다 같이 먹었고. 그러니까 너도 우리 식구야. 알겠어? - P1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