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 비평 203호 - 2024.봄
창작과비평 편집부 지음 / 창비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벌써 203호. 신문을 읽지 않게 된지 오래다. 그만큼 현실에 맞는 소식지가 없다. 정부에 쓴 소리를 하는 사람도 별로 없다.

그럼에도 문학잡지에 실린 글을 보면 국내 정세가 어떤지 대략적으로 알수 있다. 윤석열정부를 비판한다. #특집 에 실린 [세계체제 카오스와 한반도경제]는 한국경제가 위기에 봉착했고 세계에서 한국의 위치가 내리막길에 있다고 꼬집는다. 전문가를 모두 검사로 바꿔버린 독재정권의 말로는 당연해보인다. 도대체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국뽕이 차오르던 불과 몇 년 전과 너무 달라진 위상에 부끄럽고 빨리 선거날이 오기를 기다릴 뿐이다.

🔖 분단체제론에서는 근대체제에 대응하는 노선으로 ‘변혁적 중도주의’를 논의한다. 변혁적 중도주의의 요체는 개량 아닌 변혁을 수행하되 양 극단을 배제한 정도의 중간길을 추구하는 것이다.

필자는 공화주의 경제 영역을 늘리고자 한다. 현재 남북한 적대가 극에 달했기 때문에 제3 매개자가 필요하다고 한다. 같은 방향을 보고 함께 했을 때 문제점도 생겨날 수 있어서 조금은 조심스럽지만, 지역간 공화를 추구한다는 필자의 의견에는 동의한다. 쉽지 않아 보이지만 공공의 경제를 만들어 갈 때 민주적 공화주의가 균형을 잡아 이끌어 간다면 또 달리 해결이 될지도 모르겠다.
허나, 이건 모두 지도자가 제대로 된 사람일 때 가능하지 않을까?

봄이 되면 항상 함께 떠오르는 사건. #416 세월호참사에 대한 평론이 있어서 정독을 했다.
10주년이 된 올해까지 진상규명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 윤석열은 끝내 특별법도 거부했다. 🤬
글을 통해 계속 발산해내는 수 밖에 없다.

🔖 그대여. 가만히 멈추라고요? 가만히야. 나는 나의ㅜ가만히를 끌어안았습니다. 가만히의 기다란 코가 내 목을 살며시 조릅니다. 아, 가만히. 그리하여 우리는 가만히 있을 수가 없는 가만히 동호회.

‘가만히 있으라’는 말이 떠오른다. 국가 시스템이 붕괴됨을 증명하는 문장. ‘가만히’라는 말의 의미를 되짚어본다.
이런 일은 계속 반복해서 일어나고 누구도 잘못한 이는 없지만 피해가 일어난다.
하지만 지금은 그때와는 좀 달라졌다.

🔖 ‘우리는 이제 달라진 능동시민이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던지는 세월호의 질문, 어떻게 살 것인가? 한 번쯤은 생각해봐야겠다.

#신간 #추천 #창비 #창작과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