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을 위한 내 일 - 일 잘하는 여성들은 어떻게 내 직업을 발견했을까?
이다혜 지음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받았을 때 사진들이 컬러로 되어 있어 참 좋았다.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인터뷰가 아닌 나도 그 자리에 함께 하고 있다는 생동감을 줘서 그런 것 같다.

직업이라는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삶', 결국 일은 '자신' 이라는 것에 이르렀을 때 희열을 느낄 수 있었다.

많은 직업 중 여성이 할 수 있는, 그러기엔 모든 분야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는 사실에 살짝 으쓱하기도.


이 책에서 나온 바리스타 #전주연 의 이야기처럼 한 분야에 전문가가 되려면 10년 정도의 기간이 필요한 게 맞는 것 같다.

프로그래머로서 일을 할 때는 전문가다워야 하고 전문가라면 이 정도는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나름의 목표도 있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생각하면 많이 부족한 것 같고 더 노력이 필요하고 서툴러 보인다.

#정세랑 작가의 인터뷰를 읽으면서 나는 어쩌면 여성이라는 것에 투덜대고만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낙원에 살고 있지 않은 여성들을 보며 현실을 좀 버텨야 할 것 같다.

같은 글임에도 장르를 바꾸면 다른 글이 되는, 생각을 조금만 바꾸면 또 다른 길이 열린다.

#엄윤미 대표의 대기업 퇴사 이야기를 읽으니 예전에 프로그래머로 함께 일할 때 상사의 말이 생각났다.

- 남자직원이었으면 참 좋았을 텐데.

같은 나이의 남자직원보다 월등한 능력을 갖고 있고, 같은 경력의 남자직원보다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지만 여자이기 때문에 아쉽다는 그의 말에 씁쓸하지만 동의했었다.

지금 내가 다시 그 자리로 돌아간다면 '여자라도 괜찮지 않냐' 고 되받아칠 수 있는데.


나는 과연 함께 일하기 좋은 상대였을까?

생각해보면 회사에서는 두루두루 잘 지냈던 것 같다.

지금은 만나고 싶은 사람만 만나지만.

이 책에 나오는 여성들을 만나면서 나는 한층 생각이 깊어지고 예전과는 사뭇 달라진 느낌이다.

하나의 길만 있는 것은 아닌데 너무 그 길만을 바라보고 강요하고 있는 건 아닌 지, 이것저것 하고 싶은 건 많은데 다 찔러보고 아니면 말고 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건 아닌 지.

그 동안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해 깊게 생각을 하진 못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통해 도전해서 이뤄낼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게 됐다.

시간은 한정적이지만 내게 허락된 시간을 잘 쓰면 다시 내게 맞는 직업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 창비에서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

함께 일하기 좋은 사람이라는 가치와, 일을 잘하는 능력을 고루 갖춘 사람이 없는 듯 말하는 경우도 많지만, ‘함께‘ 하기 좋다는 뜻은 결국 일을 잘한다는 뜻에 포함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