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룩 - 2010년 제55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박성원 외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이런 사람이 있다.  
아이와 나란히 앉아 퍼즐을 맞추는데 마지막 하나가 없다.
이리저리 찾아보지만 작은 퍼즐조각이 좀처럼 나와주지 않는다.
하는 수 없이 퍼즐을 넣어두지만 해가 질 때까지
퍼즐조각 하나가 가슴에 박혀 빠져나오지 않는다.
이런 사람 어떤가. 지금에 와서는 한심하기 짝이 없지만 
솔직히 고백하자면 이 어처구니없는 이야기의 주인공은 나다.
얼룩, 다시말해 이 빠진 퍼즐은 도무지 신경쓰여 못 살겠고,
아끼던 책에 보기 싫은 자국이 생기면 화가 나는 사람이었다, 나는.  

한데 얼룩을 보는 시각이 달라지면 얼룩도 썩 괜찮은 존재가 된다는 걸 깨달았다.
얼룩이 있으면 깨끗이 유지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날 수 있고,
얼룩이 생긴 기억도 더러 추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빠진 퍼즐도 요기에 어떤 그림이 들어갈 수 있나 맹한 상상을 할 수 있고,
이가 하나 빠졌으니 이제 하나 더 잃어버린들 그리 실망하지 않을 것이다.
옷의 얼룩은 조금 맘상하지만, 조금만 성의가 있다면 어떻게든 뺄 수 있고,
아예 새 옷을 살 핑계를 만들 수도 있다.
물론 생각하는 각도를 달리하면.  

사람이 옷에 얼룩도 좀 묻히고 그래야지, 하고 소설 속 여자는 투덜거린다.
그 얼룩이 아기를 잃어버리는 일이라면, 어이쿠 생각의 각도를 바꾸면 하고 흰소리를 할 수 없다.
하지만 어차피 생긴 얼룩이라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도 방법이다. 
여자는 길을 벗어나 어디론가 자꾸만 간다.
그곳이 울란바토르든 어디든, 얼룩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만 있다면
가슴에 박힌 퍼즐조각이 훌렁 빠져주지 않을까.  

좋은 단편들이 많다. 내 삶과 연관을 지어보자면, 윤고은의 <1인용식탁>을 읽으며
소외와 고독이 판치는 세상에 내 자식을 내어보내는 것이 마음이 아팠다.
나처럼, 혹은 누군가처럼, 내 아이도 소외되고 고독하고 인내할 것이다.
이장욱의 <변희봉>에서는 내 안의 세계와 따로 도는 모두의 세계, 혹은 모두의 세계와 따로 도는
나의 세계가 만져졌다. 모두의 세계가 모, 라고 하면, 나의 세계는 도, 가 될 수도 있는 것.
니 변희봉 아나? 하고 숨 끊어지는 아버지가 묻는 순간 남자는 얼마나 좋았을까.
내 세계 안의 변희봉을 아는 사람은 모두가 내 편처럼 받아지는 것이 삶인 것이다.  

어떻게 된 게 이 소설집 속의 단편들은 모두 하나같이 이 하나 빠진 것 없는 퍼즐 같다.
하나하나 읽어나가면서 다 읽어버리고 말았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삶을 바라보는 여러 눈들을 이 속에서 볼 수 있어 좋았다. 
물론 작가들의 눈을 내 마음대로 이해하는 점이 없잖아 있지만.

내 맘대로 이해하는 덧붙임;
예전에는 내가 꼬장꼬장 기억 잘하는 사람인 줄만 알았다.
한데 살다보니 얼룩을 잘 받아들이는 사람이 된 건지,
원래 얼룩을 일정기간만 지나면 멍하게 잊어버리는 사람이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
얼룩이 눈가리고 아웅을 하면 얼룩으로 치지 않는 성격이 내게 있다는 걸, 알게 된 것이다.
이건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는데, 이것 역시 생각하기 나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