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석영님이 근간에 출간한 바리데기는 한 동안 한겨레 신문에 연재되었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다. 이 책을 읽고 난 후에 비로소 알게 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 책이 나의 호기심을 자극하게 된 동기는 책의 제목 때문이었다. 일반적으로 책의 제목을 보면, 그 책의 흐름과 내용 등을 어림짐작 할 수 있지만, 이 책은 나에게  전혀 그런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였다. 어떻게 보면, 나에게 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 것이 오히려 더 큰 호기심을 발동시킨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바리데기"을 읽어보면, 서사적인 부분들이 현실과 함께 어울러져 재미와 인간의 희노애락을 잘 재현해 주는 듯하다. 황석영님이 말하는 "바리데기"의 의미는 한반도에 구송되어 온 무속신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바리공주", "바리데기", "칠공주"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영혼을 구제하기 위해서 저승을 다녀오는 영매의 의미를 뜻하고 있다고 황석영님은 이야기 한다. 이 의미처럼 "바리데기"을 읽어보면, 주인공이 이승의 몸을 벗어나 저승에 다녀오는 이야기들이 곳곳에서 나타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또한 "바리데기"의 이야기가 전개되는 배경은 북한의 현실과 함께 시작되는데에 다른 책과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의 현실적 상황을 저자의 기술로 그때 상황을 머리속에 재현되어질 수 있을 만큼  아주 생생하게 전달되고 있다. 북한 사투리며 또한 김일성 타계 후의 북한의 정황과 현실을 적나라게 피력됨으로써 북한에 대한 문외한이라할지라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바리의 배경이 중국과 영국에까지 이동되어질 때에도 마침 영화의 한 장면을 보는 듯한 섬세하고 현실적인 긴장감을 느끼는 듯하였다.

영국에서의 생활 속에서도 문화와 인종, 종교, 전쟁, 이념, 등 현실에 대두되는 모든 현안들을 주인공 바리의 삶과 희노애락을 통해서 잘 비춰준 것 같다. 황석영님은 이 현안의 해결점 또한 바리를 통해서 투영시키고 있는데, 현실의 세계를 벗어나 이승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 해결 방안인 생명수를 찾아나서는 서사적인 기술 또한 나로 하여금 깊은 인상을 안겨다 주었다.

결국, "바리데기"에서 황석영님은 주인공 바리가 해결책인 생명수의 획득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단지 독자의 몫에 남겨둠으로써 "바리데기"를 끝맺고 있다. "바리데기"는  구송으로 전해 내려온 서사적인 이야기를 현실을 통해서 재현됨으로써 글 속에 함축된 재미와 현실에 대한 문제를 잘 지적하는 듯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쁜카라얌 2007-11-30 1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완전 쵝오 잼나써용~~~^^

두나미스 2007-12-02 1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참 재미있게 읽었어요...황석영의 소설은 왠지 모르게 사람을 끄는 매력이 있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