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하고 싶은 일이 없는 사람은 사회적기업가가 되어라 - 사회적기업 창업 도전기
야마모토 시게루 지음, 신충 옮김 / 생각비행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삼포세대라는 말이 있습니다. 3가지를 포기한 세대라는 뜻인데요, 연애, 결혼, 출산 3가지를 포기한 세대라는 뜻이랍니다. 저를 포함한 요즘 젊은 20~30대를 이르는 말이죠. 근데 나꼼수인가, 나꼽살인가를 들어보니 어떤 대학생 친구가 삼포가 아닌 사포세대라고 했답니다. 연애, 결혼, 출산과 함께 이젠 희망도 포기했다는 말이었죠. 한창 미래를 봐야할 학생에게서 그런 말이 나왔다는 것이 끔찍하면서도 슬픕니다.

 

대학 5학년은 이제 대부분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겪는 일이 되었습니다. 비싼 등록금, 궁핍한 가정경제로 공부만 하며 대학을 다닌다는 것은 옛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대학생 가운데 아르바이트를 하지 않는 학생은 거의 없으며, 최소한 2개 이상의 아르바이트를 하며 학교를 다닙니다. 저도 일본에 있을때 일을 하며 학교를 다닌적이 있는데요, 정말 죽도 밥도 안됐습니다. 일도 제대로 안되고 공부도 제대로 되지 않더라구요. 이렇듯 사포세대인 20~30대 젊은 층에겐 도저히 희망을 찾기 어려울까요?

 

일본인 사회적기업가 야마모토 시게루는 이야기합니다. '하고 싶은 일이 없는 사람은 사회적기업가가 되어라'라고요.

 

 

야마모토 시게루 트위터(@YamamotoShigeru)

 

'하고 싶은 일이 없는 사람은 사회적기업가가 되어라'의 저자 야마모토 시게루는 현재 일본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회적기업가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그는 NPO법인 NEWVERY의 대표로 일본의 젊은이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이 이태백(이십대 태반이 백수)이 문제라면 일본은 구직활동을 포기한 젊은이들을 일컫는 니트(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Training) 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이태백도 따지고보면 니트죠) 야마모토 시게루는 이들의 자립과 자활을 돕는 올니트니폰(일본은 전국이라는 말을 '전일본'이란 말로 씁니다) 이란 라디오 방송국을 만들었습니다. 니트를 양산하게 되는 이유 가운데 하나인 '중퇴'(실제로 일본은 왕따를 비롯한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중고등학교에서 중퇴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미래를 보장하지 않는 사회로 인해 대학생 중퇴생도 늘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중퇴예방연구소'라는 사업도 하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만화가 지망생들의 꿈을 이뤄주기 위해 '토키와장 프로젝트'도 하고 있습니다.

 

(좌측부터) 일본중퇴예방연구소토키와장 프로젝트올니트니폰

 

야마모토 시게루가 벌인 사업의 면면을 살펴보면 공통점이 하나 나옵니다. 자의든 타의든 어떠한 이유로 인해 넘어지고 좌절한 사람들을 도와 그들이 일어서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라디오 방송국 올니트니폰은 니트의 자립활동을 위한 활동, 일본중퇴예방연구소는 미래의 니트를 막고 학생들의 중퇴를 막는 활동, 마지막으로 토키와장 프로젝트는 만화가가 되기 위해 도쿄에 상경한 지망생들을 돕는 활동입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야마모토 시게루는 도대체 어떤 일을 했던 사람인데 이렇게 사회적기업가가 될 수 있었을까요? '하고 싶은 일이 없는 사람은 사회적기업가가 되어라'를 보시면 그가 사회적기업가가 되기까지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습니다. 아마모토 시게루도 대학 5학년을 다니던 학생이었습니다. 그도 대학생 시절에는 꿈과 미래가 없어, 마치 한국의 사포세대와 다를바 없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내가 하고 싶은 일이 없으면, 하고 싶은 일이 있는 사람을 돕는 것은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다는군요.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하고 싶어하는 것-이 책에는 니즈(Needs)라고 했습니다-를 찾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시작했던 야마모토 시게루는 사람들의 니즈를 파악해 어려가지 프로젝트를 실행시켰습니다. 때론 실패하여 지속가능할 수 없는 모델이 되기도 했지만, 꾸준히 노력한 끝에 성공하는 프로젝트가 하나 둘씩 나오기 시작했습니아. 올해 35세인 야마모토 시게루는 일본에서 주목받는 사회적기업가로 성장했고,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며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을 만들고 운영하는데 힘을 쏟고 있습니다.

 

 

한국의 대학생들은 정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의무교육 12년동안 학교와 학원을 오고가며 공부에 열을 올리고 있고, 대학에 들어와선 취업을 위해 외국어 공부, 자격증 공부, 해외연수 등 쉴새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더해 끝없이 올라간 등록금으로 인해 취업준비, 공부할 시간은 줄어들었고 돈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해야합니다.

 

이런 불행의 고리를 끊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입니다. 거리에 나가 꾸준히 반값등록금을 외치는 방법,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 학생들 자신이 아르바이트 노조를 결성하는 방법(청년 유니온)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다른 학생을 도와 학생의 본분인 공부를 제대로 할 수 있게 노력하는 것이죠. 이렇듯 자신이 할 수 없는 것, 뚜렷하게 하고 싶은 일이 없다면 주위를 둘러보고 내 또래의 사람들이 어떤 니즈가 있는지 파악하고 니즈를 채워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 그것을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만드는 것, 이것이야말로 사회적기업의 창업입니다.

 

방황하는 20~30대 젊은 층들에게 이 책, 하고 싶은 일이 없는 사람은 사회적기업가가 되어라를 추천합니다. 저 또한 20대에 고민했던 것이 책의 내용과 일치하고, 지금 제가 생각하고 있는 부분과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 와닫는 부분이 정말 많았습니다. 또한 그가 사회적기업가가 되기 전까지 경험했던 일들이 주된 내용이라 읽기도 편합니다. (저도 2시간만에 다 읽었습니다. )

 

자신이 방황하고 있다면, 혹은 사회적기업가를 꿈꾸고 계시는 분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세요. 후회하지 않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랙 - Black
영화
평점 :
상영종료


가끔은 따뜻한 감동에 눈물을 흘려보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가대표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한국판 쿨러닝. 하지만 감동의 깊이는 확실이 다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우 - Chaw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인간의 한심함을 조롱하는 블랙코미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려울수록 기본에 미쳐라 - 성공의 99%는 비범함이 아니라 기본이다
강상구 지음 / 원앤원북스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실용서적 붐인것은 확실한 것 같다. 어려운 시기다 보니 다들 성공한 사람들의 롤모델을 쫒아서 그들이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따라함으로서 자신도 같은 반열에 오르고자 하는 것 아닌가 한다.

맞는 방법이다. 어떤 학문을 배울때도 선배들의 도움을 받는 사람은 좀더 빨리 발전할 수 있다. 쓸데없이 버리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더 나은 기술을 빨리 습득함으로서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너무 빨리 이룩하려 해서도 안된다. 요행은 잠시나마 인정을 받을수 있게 하지만, 기본이 되어 있지 않는 사람은 요행에서 그친다. 기본적인 지식이 없기에 응용을 할 수 없고, 큰 문제에 닥쳤을때는 당황부터 하게 된다. 기본을 차분히 익히고 단단하게 밑바탕을 깔고 온 사람들은 그런 경우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든 탑이 무너지랴?

강상구씨는 자신의 책 어려울수록 기본에 미쳐라(강상구 지음, 원앤원북스)라고 한다. 이런 말을 하면 다들 그럴것이다.

'다 아는건데 왜 또???', '쓸데없는 잔소리 그만 하시고....'

그렇다면 당신이 기본을 얼마나 잘 지키는 지 알아보자. 당신은 세일즈 맨이다. 세일즈 맨의 기본은 복장의 깔끔함이며 항상 웃는 얼굴이다. 그리고 자신이 영업하려는 사람의 인적사항을 모두 파악하여 그의 일거수 일투족을 알아야 한다. 그의 생일이나 그의 배우자의 생일도 알아내어 축하도 해주어야 한다.

앞서 흔히 이야기하는 세일즈 맨의 기본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지키고 있을까?

당신은 작은 구멍가게 주인이다. 항상 아침일찍 나와 선입선출을 위해 물건의 날짜를 앞뒤로 맞춘다. 손님이 들어올때 인사를 하고 돈을 받을때나 줄때 얼마를 받았고 얼마를 돌려주는 지 복명복창을 한다. 손님이 아무리 화가나게 해도 웃으며 응대한다.

솔직히 한국에서 이런 가게 나는 아직까지 못봤다. 잘나가는 대형 마트에서도 몇몇 사람들만 이렇게 행동할 뿐,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지 못하다. 위에 있는 이야기들은 몇몇 인기있는 가게, 혹은 유명한 세일즈맨에게서 들어본 말일 것이다. 이렇듯 가장 기본적인 것을 행하지 않고 습득하지 않으면 세일즈에서도 장사에서도 이윤을 남기기란 쉽지 않은 법이다.

그러면 독자들은 '그래! 그렇다면 기본을 보여줘!'라고 말할 것이다. 강상구씨는 3가지로 나누어 왜 기본에 미쳐야하는지 책에서 언급 했다.



첫번째는 '어려울수록 기본에 미쳐야 하는 이유 3가지'를 들었다. 앞서 짧게나마 언급한 내용이 여기에 들어있다. 큰 문제가 생겼을때 기본이 없으면 해결할 수 없으며, 기본을 뛰어넘어 요행으로 행동하면 어떻게 되는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두번째는 '기본에 미치기 위한 핵심지침 8가지'를 이야기 했다. 어떻게 하면 기본을 배우고 지킬수 있으며 그러한 마음을 끝까지 지닐수 있는 지 이야기 했다.

세번째는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를 바탕으로 기본에 미치라는 것에 대해 이야기 했다. 각 업무, 직책별로 어떻게 기본을 지켜야 성공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이야기를 서술해 놓았다.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어찌보면 정말 당연한 이야기만 써놓고 있다. '기본을 지켜라'라는 이야기는 예전부터 어른들에게 지겹도록 들었던 이야기 아닌가?

그런데 우리는 그것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 기본을 배우려 하지 않는다. 너무 힘들고 급한 나머지 빠른 길이 있으면 그 길을 통해 넘어가려 한다. 기본적으로 지켜야하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귀찮고 힘들어서 지키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성공한 사람들을 보라. 어찌보면 그들에게 답이 있을수도 있다. 그들은 가장 기본적인 시간 약속에 늦는 적이 거의 없다. 업무에 관해서도 특별한 상황이 없는 한 기한안에 맞추어 해낸다. 어른, 상하관계에 있어서 예의는 아주 기본적이다. 우리가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이것 아닐까?

내용을 보고 어떤 큰 것을 얻으려고 이 책을 읽기 보단 자신이 그간 기본이란 것을 얼마나 지켜왔는지에 대한 환기라고 생각해 이 책을 읽는다면 기꺼이 추천해줄수 있는 책이다. 무언가 풀리지 않고 힘이 들때, 갈피를 잡지 못할때 가볍게 읽는다면 아주 좋을 것 같은 책이다.



지금 자신의 사는 인생에 무언가 나사가 빠졌다고 생각하진 않는가? 혹은 자신의 것을 열심히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뭔가 성이 차지 않는가? 자신을 냉철하게 돌아보라. 지금 자신이 얼마나 기본을 지키고 있는 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