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 미암일기 1567-1577
정창권 지음 / 사계절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16세기 양반인 미암 유희춘이 11년간 쓴 일기를 중심으로 작가가 주제별로 현대어로 재구성한 것이다. 유희춘은 그냥 양반이 아니고 기대승, 송순, 이황, 이이, 정철과 교유했고 임금의 스승을 지낸 고위관료였다.

그의 일기를 토대로 보면 조선시대 전기는 아들과 딸이 제사를 함께 지내거나 장자 상속 대신 자녀균분 상속이 폭넓게 시행되는 등 후기에 비해 남녀차별이 심하지 않았다. 또 대가족제도라 외가, 처가 등이 함께 모여 살고 바깥 출입이 잦은 대감 마님에 비해 일상적으로 많게는 100여명의 식솔을 관리하던 안방 마님의 실세가 대단했다. 즉, 대가족 조선 안방 마님의 ‘곶간 열쇠’ 는 핵가족 시대 현대 부인이 관리하는 남편의 ‘급여 통장’ 을 스케일면에서 크게 압도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이 밖에 왕실, 정국 동향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가계 살림살이, 혼례, 제사, 노비 관리 등의 광범위한 내용을 주제별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유희춘이 조선의 양반으로 그 당시 민중의 대표도 아닌데다 일기의 특성상 밥 먹고 일하는 매일 되풀이 되는 평범한 일상 – 그러나 후대에는 중요한 가치가 있는 신변잡기- 을 그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16세기 생활상을 파악하는 데에 이 책만으로는 부족하다. 이 책은 작가 정창권이 가부장제가 조선 전반의 조류인 것인 양 세간에 알려진 것과 달리 실제 전기까지만 해도 여권 존중의 전통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을 설명하려는 특별한 의도로 이 책을 집필한 것 같고 그 의도는 부인 송덕봉이 유희춘에게 보낸 두 통의 편지만 놓고 보더라도 성공한 듯하다 -그 편지는 논리적인 명문이었고 결국 유희춘은 말발에 있어서 부인에게 K.O패를 당한다.- 그래서 이 책은 16세기 생활사 참고서라기 보다는 오히려 16세기를 살던 조선시대 할아버지의 일기 훔쳐보기로 접근을 하면 맘 편할 것 같다.

부언컨데 조선 시대의 생활사를 알고 싶다면 이 책보다는 <일상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가 더 적절할 것이다. 왜냐면 <일상으로..>는 유희춘의 일기뿐만 아니라 신윤복 등의 풍속화나 기타 의복사, 음식사 등을 포괄하는 다양한 문헌을 참고로 하여 기생, 형장, 마마, 호환, 담배 등 10여가지 주제로 참고 문헌을 넘나들면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를 포괄하는 우리 역사의 잘못 알려진 오해와 그 진실을 파악하려면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등의 책을 읽는 것도 유익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