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강남의 생각
오강남 지음 / 현암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게 종교라면

나는 비종교인이다. 대학 다닐 때 학생 식당이든 어디든 내가 혼자 있기만 하면 어김없이 달려들어 성경공부를 권하는 사람들의 공격적이고 집요한 전도 방식, 예수천국 불신지옥 같은 단선적이고 선정적인 이야기에 대한 거부감이 컸다. 가톨릭은 다르겠지 하는 마음에 서른 즈음에는 성당에 다닌 적도 있는데 성당 앞 온갖 소원 내용이 담긴 포스트-잇을 읽어보다가 피식 웃음이 났다. 모 빌딩 203호가 몇 달째 비어 있으니 임차인을 구해달라거나(월세를 내리면 간단할 것을) 늘푸른 고등학교 3학년 몇 반 아무개가 무슨 대학 무슨 과에 합격 하게 해달라거나(기도를 안한 애는 그 이유로 불합격해도 좋은가) 하는 아주 구체적이고 기복적인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서로 사랑하게 해달라거나 힘든 이웃에게 힘을 달라는 내용은 거의 없었다. 하나님이 공인중개사나 입학 컨설턴트도 아니고 무척 머리가 아프거나 바쁘실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전쟁 중인 이슬람 국가 아프가니스탄에 기독교를 선교하러 간 기사를 접하고는 해당 교인들의 행동이 무모하거나 무례하게 느껴졌다. 최근 코로나 팬데믹에도 신천지 등 교회가 집회를 강행해서 교회를 집단감염의 진원지로 만들고 광화문의 기독교인 집회가 정치 권력을 행사하는 과격한 교회 사람들로 넘쳐나는 것도 나에게 종교에 대한 혐오를 강화시켰던 것 같다. 하나님을 믿지 않아서 코로나가 왔다는 말을 들을 때면 이러면 하나님은 뭐가 되나 한숨이 나왔다. 헌금을 둘러싼 지저분한 이권 싸움, 교회를 목사 아들에게 증여하는 등 신앙을 돈벌이 수단으로 쓰는 흔한 소식도 종교 혐오에 한몫했던 것 같다. 신에게 복을 빌고 한편으로 신의 겁박에 두려움으로 떨며 자기만 옳고, 자기만 잘살자고 하는 것이 종교라면, 종교가 왜 필요한가 싶은 생각이 많이 들었다.

오강남 선생님의 책을 읽고보니 나처럼 뜨악한 경험을 통해 종교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유럽, 미국, 우리나라 등 전세계적으로 종교인의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비종교인이 60%가 넘는다고 한다. 선생님은 오강남의 생각에서 편협하고 기복적인 종교를 비판하고 종교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말씀하신다. 문제는 애꿎은 하나님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며 그 의미를 호도하는 자들에게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신이 문제라기보다 신에 대한 인간들의 낡은 생각이 문제이다. 진정한 종교란 서로 미워하고 자기만 잘 사는 것이 아니라 우주가 서로 엮여 상호작용하고 있는 신비를 깨닫는 감수성으로 비움이라는 자기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한다.


상호 연관이라는 우주의 신비

오강남 선생님은 주위를 둘러보면 만물이 서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고, 이 서로 연결된 것이 바로 우주의 신비라고 한다. 그 예로 먹는 밥 하나에도 벼를 키우기 위한 땅, , 공기, , 농부, 농부의 조상, 농기구, 농기구를 만드는 대장간과 쇠붙이, 그 쇠붙이를 만들기 위한 광부와 불 등이 모두 연결되어 있음을 든다. 쌀 한 톨에 온 우주가 다 들어 있고, 내 속에도 우주가 다 들어 있다고 한다. 모든 것이 서로 얽히고설켜 있다는 신비로움을 깨닫게 되면 더 이상 나 혼자 산다고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물리학자이자 깊은 종교심을 가졌던 아인슈타인도 지성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간접적이고 여린 그림자로만 다가오는 아름답고 숭고한 신비로움을 감지하는 것이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답고 심오한 경험이라고 했다. 종교의 핵심은 만물이 서로 연관되어 있고 모두가 하나이며 우리는 그것의 일부임을 아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참된 종교인이라면 나에게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아서 감사하다는 얌체 감사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 와닿았다. 참된 종교인은 자비를 실천하는 사람이고, 이때 자비(compassion)는 영어로 함께(com) 아파함(passion) 공감능력을 뜻한다. 나와 세계가 연결되어 있고 나도 그 세계의 일부분이라면 나 혼자에게만행운이 찾아오고 불행은 비켜가라 빌 일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살아갈 방식을 찾고 공감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의미인 것 같다. 이 지점에서, ‘어느 누구도 외딴 섬일 수는 없다는 지극히 당연한 말이 뭉클하게 다가온다. 종교란 나의 행복과 안위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어떤 이도 외딴 섬일 수 없이 서로 연결된 망에 있음을 감지하는 감수성을 갖는 것이다.

 

정보(information)대신 변화(transformation), 비움

오강남 선생님은 종교의 문자주의를 청개구리식 해석이라고 비판하고 시대적, 문헌적 맥락을 파악할 것을 말씀하신다. 예를 들어 날마다 죽노라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무덤을 오가는 것이 아니라 매일 영적 죽음과 부활의 기쁨을 누리는 삶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만약 성경을 문자 그대로 절대적으로 따라야 한다면 단순히 동성애만 반대할 것이 아니라 성경에 서 지시한대로 동성애자들을 반드시 죽여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실제 성경은 동성애뿐만 아니라 다른 행위들도 금지하는 조항이 많은데 선별적으로 다른 조항은 무시하고 동성애만 금지하는 것도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맥락이 중요한데 성경이 명한 동성애금지는 당시 어린아이들을 돈으로 사서 성적 쾌감으로 삼던 관행을 금지를 뜻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이 책을 읽고 종교가 상호연결된 우주의 신비, 자기 변화, 비움을 깨닫고 찾는 일이라면 나도 기꺼이, 그리고 절실히 종교를 공부하고 탐구하고 싶어졌다. 불교는 부처라는 신을 믿는 것이 아니라 부처라는 스승에게 배우는 종교라는 말도 생각났다. 오강남 선생님은 현실적으로 생각보다 별로 기독교인이 성경을 읽지 않는 것이 사실이라고 한다. 기독교도 예수를 일단 믿으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성경을 많이 읽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 배우고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포도원의 주인 구절 해석처럼 하느님의 나라는 임금 노동자와 같은 방식으로 시간당 노력을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과 배려, 발상의 전환, 가치 전도, 역지사지의 원리가 작동하는 곳일 것이다.

선생님께서 책 들어가는 글에서 처음 인용하신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는 함석헌 선생님의 말씀이 인상 깊다. 오강남 선생님은 우연히 만난 종교를 절대화해서는 안된다고, 어디에 태어났다는 것이 곧바로 자신의 선택과 무관하게 특정 종교를 결정하는 이유가 된다면 백인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KKK단원이 된 것과 무슨 차이가 있냐고 반문한다. 종교는 우연히,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또는 어떤 일을 계기로 무조건 거부하기만 해서 될 일이 아니라 생각이라는 것을 하며 관찰하고 깨닫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 작은 생각이 바로 자기변화를 이끌기 위한 감수성을 깨우는 시작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