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드의 영역
쓰쓰이 야스타카 지음, 이규원 옮김 / 은행나무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시간을 달리는 소녀>로 유명한 쓰쓰이 야스타카의 꽤 신작 장편소설이다. 우리나라에 번역될 일은 아마 없지 않을까 짚고 있었는데, 이렇게 등장할 줄은 몰랐다. 올해 들어 해외 번역 SF소설들의 성적이 꽤 좋았지만(‘아작‘ 출판사가 견인했다), 그래봐야 영미권소설의 일이고, 일본SF의 감수성은 우리나라에서 보기에 좀 마니악하고... 뭐랄까 지나치게 미의식이 강하고 유희적인 게 아닐까 제멋대로 생각하고 있었다. 나라고 일본SF를 많이 본 것도 아니고 그냥 내가 봤던 게 대부분 ‘지나치게 미의식이 강하고 유희적인‘ 종류에 속한 것뿐이다.

어쨌거나 쓰쓰이 야스타카다. 생각해 보면 이 작가의 소설은 우리나라에 꽤 많이 번역되어 왔구나 싶다. 90년대부터 줄곧 말이다. 학술적인 성격이 짙은 이와나미문고에서도 간행된 <문학부 다다노 교수>라거나, <가족 팔경> <파프리카> 같은 대표작들이 꽤 나왔고, <최후의 흡연자> <사회학·심리학> 같은 단편집들도 판을 바꿔 가면서 꾸준히 번역되었던 것 같다. 그럼에도 <시간을 달리는 소녀>를 제외하면 일본에서의 명성에 비교하면 너무나도 수수한 반향밖에 없었지 않았던가 싶다. 그랬기에 이 책의 뒤표지에 당당하게 들어간 헤드라인을 보면 약간 쓴웃음이 나온다.

<세상이 열광하는 희대의 엔터테이너 / 쓰쓰이 야스타카 50년 작품 세계의 집대성>이라는 헤드라인이다. 음. 윗줄은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더라도, 이 아저씨의 반백년이나 되는 작품 세계를 집대성하든 말든 별로 우리나라에서는 상관없지 않나? 라는 느낌. 아예 불길함을 느낄 수도 있다. ‘내가 잘 모르는 작가의 평생의 집대성‘이라는 건 즉, ‘나랑 별 상관없고 잘 모르는 이야기들을 자유롭게 벌여놓은 거 같은데 결국 잘 모르겠다‘라는 결론으로 이어지기 쉽다. 어떤 장르의 대가가 만년에 자기 세계를 종합해놓은 이야기란 그것이 유통되어 온 환경이나 사회와의 역사가 축적되고 맥락을 알지 못하면 즐기기 어렵다는 게 나의 경험에 의한 신념이다.

부정적인 소리만 줄창 늘어놓고 말았지만, 그렇다고 이 책이 도통 이해 못할 노잼소설이라는 건 내 요지가 아니다. 다만 뭐랄까, 어떤 SF 혹은 스릴러를 기대하느냐에 따라서 엄청 큰 실망을 할 수도 있겠다. 일단 이 책은 SF중에서도 사변물의 테마를 갖고 있고 그걸 스릴러 기믹으로 풀어내고 있는데, 스릴러로서 구성을 막 타이트하게 잡은 물건이 아니다. 이건 쓰쓰이 야스타카라는 개인이 ‘내가 하고 싶은 말은(내가 이제껏 해온 말은) 이거야‘라고 일필휘지로 에센스만 뽑아서 ‘뭐 스릴러 정도로 해볼까‘하며 처리하고 ‘이제 됐어‘하며 탁 마무리한 느낌이다. 그런데 이 개성이 굉장히 강하다. 결국 이 이야기를 읽음으로써 체험하는 건 쓰쓰이 야스타카라는 강렬한 개성이다. 혹은 이 사람의 정신세계라고 할까.

솔직하게 말해서 이야기로서는 엄청나게 파탄 나 있기에, 이 점을 지적하는 리뷰가(일단 일본에서) 드물다는 게 - 아니 사실 하나도 본 적 없다 - 이 작품이 이야기 자체의 질이 아니라 ‘쓰쓰이 야스타카라는 브랜드 제품으로서의 시그니처성‘에 기대 승부한다는 방증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노대가의 유머러스하고, 늙은이 주제에 실은 십대 소녀처럼 잔혹하기 짝이 없고, 방대한 역사와 지식과 정보를 가볍게 희롱하는 듯한 정신의 강도를 체험하는 독서다. 그것이 재미있고, 경이감에 넘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