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지옥 이타카
유메노 큐사쿠 지음, 최고은 옮김 / 디앤씨미디어(주)(D&C미디어)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원서로 읽었던 책이다.
 읽게 된 경위는 잘 기억나지 않는데, '유메노 큐사쿠'란 작가에 대한 호기심과 묘한 상상을 부추기는 제목 때문에 손에 들었던 거 같다.
 우리나라 독자에게 유메큐란 기껏해야 '아 그 이상한 거(도구라마구라-_-;) 쓴 이상한 애?' 정도의 인지도가 아닐까 싶다.
 일본 미스터리를 많이 접한 사람에게는, 수많은 쟁쟁한 현대 작가들 사이에서 거의 이름도 못 기억할 정도이지만, 가끔 란포랑 같이 생각나는 이름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러는 나도 이 작가를 광적으로 좋아한다거나, 일단 이 사람 관련이라면 사고 본다는 정도는 아니다. 사실 난 괴작을 좋아하니까, 이 작가 괴작 많이 쓴다는데 한번 볼까, 뭐 이 정도였다.
 그렇지만 이 <소녀지옥> 이란 작품만은, 거의 숭배하고 있다.
 이하 내가 <소녀지옥>을 숭배하게 된 경위를 소개합니다(...).

 우선 이 책은 <소녀지옥>외 대표 단편이 묶여 있다. 대표 단편들도 엄청난 수작들인데, 여기선 <소녀지옥>에 한해서 얘기합시다. 딴거 다 쓰면 저도 힘들어요.
 <소녀지옥>은 그 표제로 묶인 세 편의 중단편이다. <아무것도 아닌> <살인 릴레이> <화성의 여자> 이런 제목들인데, 그중 첫번째 것이 제일 길고 제일 유명하다(아마도). 중간의 <살인 릴레이>가 가장 짧고, 아사노 타다노부 형님이 젊은 시절 주연을 맡은 영화의 원작인데, 일단 이 작품에 대한 감상도 미뤄 둔다. (나빴다는 얘기가 아니다, 절대로... 역시 이것까지 하자면 힘에 부쳐서.)

 <아무것도 아닌>을 생각없이 읽었을 땐, 유메노 큐사쿠 스러운(?) 기괴하고 엽기적이고 퇴폐적인 그런 걸 기대했었다. 하지만 상당히 좋은 의미에서 ㅡ 너무 좋아서 부담스러울 정도로 ㅡ 기대가 어긋나게 됐다.
 천재적인 거짓말로 주변을 농락하는 미소녀 간호사 히메구사 유리코. 젊지, 능력 있지, 스타일 발군이지, 성격도 너무 좋아서 병원이 유리코 간호사 없인 돌아가지 않을 정도이다. 요즘 말로 엄친딸같은 여자인데...
 그런 히메구사 유리코가 쓸데없는 거짓말을 거듭하다 못해 죽지 않으면 어쩔 수 없을 지경까지 사태를 악화시키는 것이다.
 그 거짓말이라는 게, 정말 보잘것없고 사소하다. 제목 그대로 '아무것도 아닌' 것들이고, 사태가 악화되었더라도 "데헷 제가 님 환심 좀 사려고 거짓말 좀 한 거예요~ 나쁜 뜻으로 한 거 아니니까 용서해주세요 아잉" 하면 넘어갈 만한 것들이기도 했다.
 거짓말이 들통이 나도 또 거짓말을 하고, 그 거짓말을 수습하기 위해 또 거짓말을 한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말도 안 된다. 뭐 이런 멍청한 여자가 다 있나 싶다.
 하지만 책을 읽고 있을 때는, 그런 '상식적'이고 '객관적'인 '보통'의 기준 따위는 안중에도 들어오지 않는다.
 이야기가 히메구사에게 속은 우스키 병원장의 시점에서 풀이되는데도, 히메구사의 심정이 손에 잡힐 것 같아서 미칠 것 같고, 그녀가 불쌍하고 안타까워서 참을 수가 없어지는 것이다.
 마치 나 자신인 것 같은, 내 주변의 누군가인 것 같은... 지금 내가 아무렇지 않게 '보통'으로 행세하는 순간에도 누군가는 히메구사처럼 처절한 '마음의 지옥'을 안고 살아가는 것은 아닌가. 그런 심경이 되어 견딜 수 없다.
 유메노 큐사쿠의 시점은 '비정상'인 히메구사 유리코를 배척받아 마땅할 악인으로 그리지 않는다. 그녀는 분명 '선량한 시민'은 아니다. 그녀는 보통 사람의 사회에 적응할 수 없는 소녀이고, 이단자이자 '人外'이기도 하다. 우리식으로 말하면 '인외백정'의 마음을 가진 그녀는 인간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거짓말을 반복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덧없고 처절한 소녀의 심정을 알았기 때문에, 독자나 우스키 병원 식구들이나 한마음이 되어 "우리들은 결코 그녀를 미워하지 않습니다. 그녀의 명복을 빌어주세요" 라고 간절하게 기도하게 된다.

 히메구사 유리코는 왜 인외였던 걸까.
 그건 보통 인간의 보통 삶에 한줌의 반짝임도 아름다움도 발견하지 못했기에, 그대로라면 곧 죽어버릴 만큼 지루했기 때문에 마음이 병들어 버렸던 건 아닐까.
 그렇게 생각하면, 나 역시 자신을 둘러싼 세계가 순식간에 잿빛으로 보이는 기분이 들고, 슬퍼진다.
 이런 내가 인외백정의 마음의 지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유메노 큐사쿠는 선견지명을 갖고 <소녀지옥>을 쓴 것이 아닐까, 이걸로 마음의 '인외'를 위로하시오, 라고 쓴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든다.

 위험한 감상은 잠깐 끊고,
 근데 내가 <소녀지옥>에서 제일 좋아하는 건 마지막 <화성의 여자>다.
 <아무것도 아닌>은 신들렸다고 할 만한 인물조형과 완성도가 압도적이다. <화성의 여자> 쪽은 객관적으로 점수를 매기면 아마 아무것도 보다는 다소 밀릴지도 모른다. 물론, <화성>이 떨어지는 작품이라는 말은 아니지만.
 <화성의 여자>는 '화성에서 온 여자'라 불리며 놀림받는 추한 소녀 아마카와 우타에의 이야기다.
 히메구사 유리코가 매력적이며 주변을 갖고 노는 팜므파탈 적인 면이 있다면, 아마카와 우타에는 겉모습도 비호감, 운동 이외엔 인정받는 재주도 없고, 철저하게 배척받고 소외되는 찐따캐다.
 그런 우타에가 마음의 안식을 얻는 장소는, 자신의 추한 모습을 숨겨주는 학교 운동장 폐건물 다락이다.
 거기서 홀로 우주에 펼쳐진 공허를 몽상하며 눈물짓는 아마카와 우타에.
 남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고독과, 투명하고도 차가운, 생명 없는 허무세계에 대한 동경심은 완전히 내 마음과 겹쳐지는 것 같았다. 아마 다른 사람이 묘사를 읽어도, 똑같이 자신의 마음을 열어젖힌 기분이 되리라 생각한다. 이런 게 바로 유메큐 매직(...) 랄까, 한사람 한사람이 감춘 보편적인 심리를 꿰뚫는 좋은 소설(문예)의 미덕이겠지.

 아마카와 우타에는 겉으로는 인격자연 하는 진짜 '악인'들에게 복수하기 위해 목숨을 건 계획을 실행한다. 그 계획을 실행하고 도망치려는 찰나, 이 작품집을 통틀어서, 아니 1000권에 한 줄 나올까 말까한 아름다운 장면이 나온다.
 추격자들에게 쫓기는 절체절명의 순간, 구름 사이로 비치는 아름다운 별빛. 그것을 본 순간 치솟는 '허무로 돌아가고 싶은' 충동....
 몇줄 안 되는 이 한순간을 독자인 나는 아마 죽어서도 잊지 못할 것이다.

 이렇게 강렬하며 광기에 가까운 감정의 폭발을 지극히 절제된 언어로 묘파하는 스타일은, 현대 일본 소설에선 오츠 이치 정도가 비슷하고, 그 외에는 본 적도 없는 대단한 수준이다. (또 다른 게 있는지도 모르지만, 아는 게 없어서 잘 모른다.)
 유메노 큐사쿠 소설은, 특히 이 <소녀지옥>은 중단편소설로서 거의 완벽에 가까운 견고한 퀄리티를 갖고 있다. 공부가 부족해서 꼬치꼬치 분석하고 증거하는 건 할 수 없다. 다만 막눈인 내가 보기에도 구성의 절묘함, 시시각각 내비치는 심리의 처절함, 특히 캐릭터 조형의 초절함이 의자에서 굴러 떨어질 만큼 뛰어나다.
 단지 엽기적이고 기괴한 걸 읽고 싶다고 방만한 태도로 페이지를 넘기다가 눈앞이 아득해지며, '만만치 않는 걸 갑자기 봐버렸다'고 식은땀이 흐를 정도다.
 특히 작가의 특기 혹은 집착이랄까, 완벽하게 짜맞춰져 결말을 닫는 것처럼 보이다가도, 사실 모든 결론을 뒤엎을 만큼 엄청난 떡밥을 치밀하게 깔아놓고 시치미를 뗀다는 면이 뭐라 말도 못 하게 대단하다. 원서를 읽을 때 위화감만 느꼈던 것이, 번역본의 역자후기를 보고 단번에 이해되어 한방 먹은 기분이 되었다.
 퍼즐 미스터리처럼 보이지 않는 퍼즐 미스터리. 이런 기교는 단순히 트릭을 짜는 것과는 다르다. 소설 형식과 등장하는 인물, 그리고 읽는 인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성립되지 않는 고도의 문예적 스킬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유메노 큐사쿠는 단순히 '이상한 걸 쓰는 이상한 놈'이 아니라, 그야말로 대가라 불릴 만한 작가다.
 그리고 <소녀지옥>은 그 대가가 모든 재능을 깃들여내면서도, 도구라 마구라처럼 난해하여 읽기 힘들지도 않은, 정말로 마음을 다 주고 숭배할 만한 가치로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