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감옥
쓰네카와 고타로 지음, 이규원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야시]로 강한 인상을 준 신진 작가 쓰네카와 고타로의 두번째 단편집이다.

   세 개의 단편이 실려 있다. 표제작 [가을의 감옥] 외 [神家沒落], [환상은 밤에 성장한다] 라는 제목이다.

   가을의 감옥 :: 루프를 소재로 드라마에 촛점을 둔 전기담


   이것은 11월 7일 수요일의 이야기다.

   라는 한줄로 시작한다. 과연 그런 이야기다.
   평범한 여대생 '아이'는 어느날 정체모를 오한을 느끼고 잠이 든다. 이튿날 눈을 떠 보니 어제인 11월 7일이 계속되고 있다.
   그 이튿날도, 모레도, 몇 번이고 되풀이되는 11월 7일.
   [사랑의 블랙홀] 같은 영화에서의 루프는 '사랑을 성취한다'는 목표가 있었지만 아이에게는 딱히 해야 할 일이 없다.
   무료하고 고독하게 문자 그대로 반복되는 나날을 보내던 아이는 자신과 같은 날에 갇힌 사람들이 더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들이 루프를 되풀이하는 횟수는 각자 다르지만, 대부분 나름대로 낙관적인 태도로 사태에 대처하고 있다. 
   마음이 맞는 사람들과 만나 삶의 활력을 찾은 아이는, 어느날 루프에 갇힌 동류의 눈에만 보이는 "북풍백작"이라는 것에 대해 듣는다. 북풍백작이야말로 루프를 일으킨 장본인이며, 한편에선 그 정체는 신의 사자로서 자신에게 시련을 주고 있는 거라고 한다. 그러나 한편에선 무언가 사악한 본성을 가진 존재라는 의혹이 있다.
   그러던 중 루프하던 동료들이 하나 둘 사라진다. 북풍백작의 짓이다. 
   실종자들은 '시련'을 클리어하고 드디어 11월 8일의 세계로 나간 것일까. 아니면 좀 더 무서운 진실이 있는 걸까.
  
   이런 식의 딱 보기에도 전기담스러운 이야기인데, '루프'라는 소재를 빌어 결국에는 '아이'와 그 주변 인물들 간의 관계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야기의 완성도도, 분위기도 멋지다.
   쓰네카와 고타로의 문체는 어딘지 오츠 이치를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오츠 이치보다 감정의 호소가 좀 더 무겁고 끈적한 느낌이다. 
   불길한 동화와도 같이 몽환적이면서도 쓸쓸한 분위기로, '가을의 감옥'이라는 제목이 주는 감상과 어울려 여운이 남는다.

   신가몰락 :: 이동하는 집에 갇히다

   주인공 '나'는 어느날 집 근처를 산책하다가 수상한 초가집을 발견한다. 마당 안에 들어가자 "오키나(노인)" 탈을 쓴 남자가 맞이한다. '오키나'는 자기 대신 이 집을 잘 부탁한다고 말하더니, 검은 연기가 되어 증발한다.
   나는 당황하여 마당 밖으로 나가려 하나, 보이지 않는 힘이 장벽처럼 작용하고 있다. 나는 밖에서 사람이 들어오는 것은 자유지만, 나갈 때는 반드시 집 안에 주인 역할을 할 한 사람이 남아있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집은 일정 주기로 일본 이곳 저곳을 이동하며 출몰한다. '나'는 이동할 때마다 주변이 캄캄한 어둠으로 뒤덮이는 것을 인식한다. 
   주인공은 자신 대신 집 안에 사로잡혀 줄 누군가가 다가오기를 기다린다. 그러나 가까이 오더라도 집을 인식하는 인간은 매우 드물다. 
   좀 더 사람들이 잘 들어오도록 "찻집" 간판까지 걸며 기다린다. 그러던 중 가끔씩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나 선대의 '오키나' 와 알던 사람들이 찾아오나, 마음 약한 나는 차를 대접하고 돌려보낸다.
   어느 날, 젊은 남자가 찾아온다. 그의 상쾌하고 낙관적인 태도에 나는 그에게 집을 맡길 결심을 한다. 
   그러나 훗날 나는 어떤 살인사건의 정보를 접하고 그때의 선택을 후회하게 된다.

   다소의 미스터리 요소가 장치된 전기담이다.
   '움직이는 집'이라는 소재가 왠지 만화 '충사'를 떠올리게 한다. 분위기도 약간은 닮았는지도 모르겠다.
   평온하게 이어지던 전개가 아이러니컬한 결말을 향해 수축하기 시작하는 무렵부터가 마음에 든다. 
   이 소설에서는 어쩔 수 없이 '사악한 인간'이 등장한다. 선과 악을 초월한 '신의 집'과 대비되어 기묘한 자연의 위대함(?!)을 느끼게 한다.
   
   환상은 밤에 성장한다 :: 씁쓸한 환상이야기

   "환시"의 능력을 가진 여성의 이야기이다.
   주인공 리오는 어릴 적 강한 환술 능력을 가진 할머니로부터 능력을 전수받았다. 그것은 작은 조약돌을 살아있는 새나 개구리 따위로 보이게 하는 능력이다.
   리오와 할머니는 외따로 떨어진 곳에서 같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할머니에게 앙심을 품은 남자중학생들의 방화로 집과 할머니를 잃는다.
   그리고 리오는 '원래 부모'를 찾는데, 그들에 의하면 리오가 할머니라고 알던 인물은 육친이 아니었다고 한다.
   성장하며 리오의 환시 능력은 점점 강해진다. 고등학생이 된 리오는 우연히 어릴 적 할머니 집의 방화에 관계한 아이를 만나고, 환시로 위협하여 할머니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묻는다.
   놀랍게도 그때 방화를 실행한 세 명의 남자아이들이 괴한에게 살해당했음을 알게 된다. 게다가 그 괴한은 옛날에 할머니와 장기를 두며 친하게 지내던 아저씨였다.
   복수심도 사그라들어, 리오는 조용히 지낸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빵집에서 일하던 중 미대생 남자친구와 만나, 마을 단위의 환술을 보여준다.
   그러나 남자친구는 그녀가 보인 아름다운 환상에 예술가로서의 자존심을 잃고 리오를 떠난다.
   의기소침한 리오의 앞에 나타난 것은, 어릴 적 할머니의 지인이며 어떤 컬트 교단의 관계자인 모모세라는 남자였다.

   이쯤 되면 이 작품에서 쓰인 메인 아이템이랄지 장치들이 거의 배경 장치의 수준에 머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어도 클라이막스를 연출하는 것과는 큰 연관이 없다.
   중심에 있는 것은 언제나 '인간'의 관계, 심리, 나아가서 인생 이야기다. 이 마지막 이야기도 마찬가지다.
   특이한 능력을 갖고 있지만 특별하고 싶지 않았던 리오라는 여성의 인생 이야기다. 
   전체적으로 우울하고 맛이 나쁜 이야기이지만, 그것이야말로 작품의 진미라고 할 수 있겠다. 
    
 
   세 작품이 전체적으로 가라앉은 느낌을 주지만 소탈한 문체 때문에 신파스럽지는 않다. 민담이나 동화를 현대적으로 세련되게 가공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야시]에서의 환상적이고도 인륜을 초월한 무언가를 느끼게 하는 분위기가 인상적이었는데, 이 작품집에서도 비슷한 정서가 연장되고 있다.
   게다가 완급 조절 감각이 굉장히 좋다. 자칫 축축 늘어진 밋밋한 이야기가 될 것들에 우아한 긴장감을 부여하는 솜씨가 절묘하다. 데뷔작으로 큰 상 받은 솜씨가 어디 가는 게 아니구나, 란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