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맨
필립 로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정 과잉의 캐릭터 없이 일상 속에서 볼 수 있을만한 인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너무나 밋밋해서 이게 뭐 재밌냐? 고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인간으로 태어났다면 피할 수 없는 ‘노병사‘의 이야기가 마치 내 일처럼 읽혔기 때문에 가랑비에 옷 젖듯 빠져드는 소설이었다. ⟪ 달과 6펜스 ⟫와는 또다른 재미가 있었던...
.
주인공 ‘그’의 장례식 장면으로 시작되는 도입부는 결말의 뒤에 이어질 수 있는 구성이다. 그래서인지 책을 끝까지 다 읽었어도 처음의 장례식 장면으로 돌아와 다시 읽고 난 후에야 다 읽은 듯 했다.
-
그리고...
나의 유서를 써보기로 했다.
-
-

🔖
오랜만에 비로소 그 어느 때보다 분명하게 내 인생의 주인이 되었다는 느낌이 드는 이 순간에 왜 내가 내 삶을 불신해야 할까? 차분하게, 똑바로 생각해보면 앞으로 훨씬 더 견실한 삶이 남아있는 것 같은데, 왜 내가 소멸의 가장자리에 있다는 상상을 할까? (...) 그는 별난 사람도 아니었고, 일그러진 사람도 아니었고, 어떤 식으로든 극단적인 사람도 아니었다. 그런데 왜, 이 나이에, 죽는다는 생각에 시달리는 걸까? p37
.
하지만 현실을 다시 만드는 건 불가능해. 그냥 오는 대로 받아들여. 버티고 서서 오는 대로 받아들여라. 다른 방법이 없어. p83
.
영감을 찾는 사람은 아마추어이고, 우리는 그냥 일어나서 일을 하러간다. p86
.
그녀에게는 그녀의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친절, 남의 요구에 거리를 두지 못하는 마음, 매일매일 지극히 인간적으로 기울이는 정성이 몸에 배어 있었다. 모두 그가 피비를 떠나면서 어처구니없게도 과소평가하고 내버린, 이후에 자신이 어떤 것 없이 살아야 하는지 전혀 깨닫지 못하고 내버린 것들이었다. p108
.
그는 늘 안정에 의해 힘을 얻었다. 그것은 정지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었다. 그런데 지금 이것은 정체였다. 이제 모든 형태의 위로는 사라졌고, 위안이라는 항목 밑에는 황폐만이 있었으며, 과거로는 돌아갈 수 없었다. p135
.
자신이 없애버린 모든 것, 이렇다 할 이유도 없는 것 같은데 스스로 없애버린 모든 것, 더 심각한 일이지만, 자신의 모든 의도와는 반대로, 자신의 의지와는 반대로 없애버린 모든 것을 깨닫자, 자신에게 한 번도 가혹하지 않았던, 늘 그를 위로해주고 도와주었던 형에게 가혹했던 것을 깨닫자, 자신이 가족을 버린 것이 자식들에게 주었을 영향을 깨닫자, 자신이 이제 단지 신체적으로만 전에 원치 않았던 모습으로 쪼그라든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수치스럽게 깨닫자, 그는 주먹으로 가슴을 치기 시작했다. (...) 이 실수만이 아니라 자신의 모든 실수, 모든 뿌리 깊고, 멍청하고 피할 수 없는 실수들로 인한 가책에 시달리다 (...) p165
.
되돌아보고 네가 속죄할 수 있는 것은 속죄하고, 남은 인생을 최대한 활용해봐라. p177
-
-
-
#보통사람의일생 #아침에는죽음을생각하는것이좋다 #남겨둘시간이없습니다 #살아있는동안할수있는최선에대해
-
#함께읽기
#뉴필로소퍼9호 #삶을죽음에게묻다
#스스로행복하라 #법정스님 #샘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