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의 내용은 뒤에서 자세하게 언급될 것들을 조금씩 맛보기로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한 문단 한 문단 그 내용이 고민해보고 적용해보고 익숙해지는 데에 한참의 시간이 걸릴 만한 내용이다.

-

이 책에 나오는 예시를 보며 '오〰️! 멋짐 폭발~!'을 외쳤다. 

도대체 이 정도 수준으로 해내려면 얼만큼의 시간을 어떻게 노력해야 하나...


'누가 ...을 말했다.'는 것들을 단 1글자로 줄여버리는 센스를 발휘하심! 😲 

'~대', '~는 ~' 


돌이켜 생각해 보니 말로 할 때는 흔하게 썼지만 해석할 때는 단 한 번도 이런 말로 바꿔본 적이 없다. 

자연스러운 한국어 문장으로 만들기 위한 고민을 하기보단 해석한 내용이 정확한 지에 더 집중했었다. 

그러다보니 번역투의 문장은 크게 문제 삼지 않았었다. 


정답은 없다지만 한국어 문장의 성격에 맞추려는 고민을 해본 문장과 그렇지 않은 문장은 분명 달랐다.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읽고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그것에 목적을 둔' 세심한 연습과 노력이 필요함을 더 깊이 새기게 된다. 


영어 수동문을 어떻게 한국어로 옮길 것인가?

한국어 어미를 어떻게 절묘하게 활용할 것인가?

다행히 다음 5장부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고 한다. 기대기대~😃


---

한국어는 한 문단 안에 주어가 하나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할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번역을 할 때도 주어에 별로 기대지 않는 한국어의 개성을 살리는 쪽이 바람직합니다.

|

가급적 '나'를 드러내지 않는 것이 한국어다운 문장입니다. 그렇더라도 눈에 안 보이는 주어는 영어보다 한국어에 더 많습니다. 한국어는 절을 좋아합니다. 이는 한국어가 주어를 좋아한다는 말과 통합니다. 영어와는 달리 문장 전체의 주어를 안 쓸 뿐이지요. 

|

한국어는 어미가 발달한 언어입니다. 한국어의 중요한 특징인 어미를 번역에서 활용하는 방법은 10장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한국어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도 사람이 주어인 능동적 표현을 좋아하기 때문에 

사물이나 관념이 주어로 들어간 영문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주어를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그런 주어를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어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ex) ~에, ~로, ~덕분에, ~때문에

2) 사람이 아닌 주어를 '사람 주어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특히 목적어 자리에 사람이 오는 문장은 그런 식으로 바꿔주면 좋습니다. 

1+2) 이 두 가지를 결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주어 자리에 오는 내용을 이유를 타나내는 부사어로 바꾸고 목적어를 주어로 삼는 방법이지요.

한국어는 능동적으로 표현할 때 안정감이 듭니다. 

어떤 동작이 있을 때 한국어는 그것을 주체의 '능동적 행위로 보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한국어는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아도 주어는 사람이라는 의식이 확고하기 때문에 여간해서는 수동문을 쓰지 않습니다. 



한국어는 명령문은 물론이거니와 다른 문장에서도 주어를 잘 안 쓰는 언어입니다.
한국어도 주어를 쓰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주어의 비중이 영어보다 훨씬 작습니다.
영어는 문장마다 주어가 있어야 하지만 한국어는 한 문단 안에 주어가 하나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할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번역을 할 때도 주어에 별로 기대지 않는 한국어의 개성을 살리는 쪽이 바람직합니다. - P70

그런데 문장이 계속 이어지면 아무래도 주어없이는 흐름이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똑같은 주어로 이어지는 여러 문장에서 뒤의 주어들을 생략해서 좀 허전하다 싶을 때는 ‘그래서‘나 ‘그러면서‘, ‘그런데‘ 같은 문자 접속 부사를 덧붙이면 좋습니다. - P70

여기에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그런 주어를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어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또 하나는 사람이 아닌 주어를 ‘사람 주어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특히 목적어 자리에 사람이 오는 문장은 그런 식으로 바꿔주면 좋습니다. 또는 이 두 가지를 결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주어 자리에 오는 내용을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어로 바꾸고 목적어를 주어로 삼는 방법이지요. - P73

어떤 동작이 있을 때 한국어는 그것을 주체의 ‘능동적 행위로 보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영어 동사를 형용사처럼 쓰는 분사의 경우에도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수동의 뜻을 지닌 과거분사라도 능동의 뜻을 지닌 현재분사처럼 번역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 P75

"호텔은 시내를 내려다보았다."는 사물의 관점이지만,
"호텔에서는 시내가 내려다보였다."는 사람의 관점입니다. - P77

좋은 한국어 번역을 위해서는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사물의 시각을 사람의 시각으로 끊임없이 바꾸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사람의 시각을 끄집어 내려면 번역자가 꽤 많이 연구하고 고민해야 합니다. - P77

한국어는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아도 주어는 사람이라는 의식이 확고하기 때문에 여간해서는 수동문을 쓰지 않습니다. 주어가 겉으로 드러나야 하는 언어일수록 수동태가 발달합니다. 영어가 그렇습니다. - P80

영어는 주어 자리에 사람이 아닌 사물이나 관념이 자유롭게 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타동사가 발달했습니다. - P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