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브라이슨 발칙한 미국 횡단기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미국 소도시 여행
빌 브라이슨 지음, 권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투덜이 스퍼프가 마침내 스머프 마을을 떠나기로 한다고 해도, 그건 별로 놀랄 만한 일은 아니다. 이 스머프든 저 스머프든 죄다 엣지 없이 흰색 두건과 흰색 바지(?)를 착용하고 있다거나 혹은 모든 집들이 천편일률적으로 버섯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것도 못 봐줄 노릇이지만, 특히 항상 가가멜과 아지라엘의 위협을 감내해야 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대책 없는 낙관과 평화가 넘쳐 흐르는 스머프 마을은 분명 투덜이 스머프가 마음에 쏙 들어할 마을은 아닌 탓이다. 좀 더 다채롭고 엣지 있는 패션과 창의적이고 다양한 집들이 넘쳐나고, 무엇보다도 적당한 흥밋거리와 자극이 있으면서 또한 풍요와 평화가 공존하는 마을을 찾으려는 투덜이 스머프의 여정은, 그러니까ㅡ어디까지나 가정이지만ㅡ당연한 귀결인 셈이다.

난데없이 투덜이 스머프의 여정을 가정해보는 데에는 사실 이유가 있다. 이 책 <빌 브라이슨 발칙한 미국 횡단기>는 제목 그대로 빌 브라이슨의 미국 여행을 다루고 있는데, 이 여정은 마치 '투덜이 스머프가 스머프 마을을 떠난다면?'하는 가정을 꼭 현실에 적용한 느낌이기 때문이다. "나는 아이오와 주 디모인 출신이다. 누군가는 그래야 했으니까."라는 첫 문장에서부터 고향마을에 대한 미묘한 불만을 감지하게 하는 빌 브라이슨은 성인이 되어 고향을 떠난 이후 다시 돌아와, 이른바 "재발견 여행"을 떠나며 모든 것이 완벽한 마을(일명 '모아빌')을 찾아 나선다. 물론, 이 여행은 그가 어린 시절의 가족여행으로부터 얻은 추억을 다시 돌아보는 의미도 있지만, 나비테 안경에 벌집 머리를 한 여자들과 '농부의 선탠'으로 표식을 삼는 남자들이 있는, 그리고 이상하리만치 평온하기만 한 아이오와와는 다른 이상적인 마을을 희구한다는 점에서 빌 브라이슨의 여행은 영락없이 투덜이 스머프의 여정을 연상시킨다.

투덜이 스머프, 아니 빌 브라이슨의 이 여행의 경과는 짐작할 만한 그대로다. 빌 브라이슨은 미국 대부분의 주를 차로 2만 2496킬로미터를 달리며 여행하지만, 그가 바라던 '완벽한 마을'은 발견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여행에서 그가 지나치는 수많은 마을들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그의 투덜거림의 대상이 되기 일쑤다. 마치 다른 나라의 언어를 쓰는 듯한, 독특한 억양과 발음을 구사하는 사람들과 불친절하기 그지없는 사람들이 풍자와 조롱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싸구려 관광지로 변하거나 지독하게 가난하거나 범죄가 넘쳐나는 도시들이 조소와 비난의 대상으로 언급된다. 그리고 그러한 와중에 그의 추억 속에서 아름답게 채색되었던 낭만과 즐거움과 매력 역시 종종 우중충한 회색빛으로 현현하기도 하지만, 빌 브라이슨은 결코 특유의 유머를 잃어버리는 법은 없다.

물론, 때로는 빌 브라이슨이 구사하는 유머가 지나치게 과격한 탓에 읽는 이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기도 한다. 그가 만나는 사람에 대한 인신공격에 가까운 언사들과 그가 둘러본 마을과 유적지 등에 대한 일방적이고 과장된 평가는 이 책의 객관성과 균형성을 의심하게 만든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빌 브라이슨의 무례함을 결국 웃음으로 받아줄 수 있는 건, 능글거리며 불평이나 토해내던 그가 갑자기 정색을 하는 순간이 있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일 테다. 이를테면, 미국의 의료체계에 대한 강도 높은 힐난이나 인종차별에 반대한 '자유의 기수'들이 살해당한 사건에 대한 확고한 비판의식 등, 이러한 대목에서 빌 브라이슨의 진정성은 빛을 발한다. 그리고 이는 불평으로 일관하던 그가 자연의 순수한 경이로움과 잘 보전된 역사의 가치에 대해 찬탄을 발할 때도 마찬가지다.

설령 투덜이 스머프가 스머프 마을을 떠날지라도 그가 다시 돌아올 것을 확신할 수 있는 이유는, 불만 끝에 언제나 "하지만 아기 스머프는 좋아."라고 덧붙이던 투덜이 스머프의 말에서 아마도 따뜻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빌 브라이슨의 여행 또한 그렇다. 비록 여전히 아이오와의 디모인은 결코 '완벽한 마을'은 아니지만 그가 길고 긴 여행을 마치고 돌아왔을 때 그를 진정어린 환대와 편안함으로 맞아준 건, 그가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던 그리고 그의 어머니와 고향집이 있는 아이오와의 디모인이었다. 물론 여전히 이곳은 나비테 안경에 벌집 머리를 한 여자가 있고 이상하리만치 평온한 분위기가 있는, 단조롭고 지루하기도 한 곳임을 빌 브라이슨은 잊지 않고 다시 한 번 지적하기는 하지만, 그리운 추억과 느긋한 평화가 넘쳐흐르는 이곳이야말로 그가 찾아 헤매던 마을이었음을 빌 브라이슨은 긴 여행 끝에 비로소 따뜻하게 자각한다. 그리고 기실, 이러한 따뜻함이야말로 거침없는 불평과 비판 뒤에 가리어진 빌 브라이슨의 진면목이며, 또한 이는 내가 빌 브라이슨의 글을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만 아쉬운 점을 조금 말하자면, 이 책은 20년 전에 이미 발간된 것으로 이 책이 다루는 미국은 아무래도 오늘날의 미국과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또 솔직히 개인적으로는, 빌 브라이슨의 다른 책들보다는 이 책이 흥미가 조금 덜하다고도 생각한다. 하지만 빌 브라이슨의 책들은 모두 일정 부분 조금씩 연결되어 있어서 그러한 부분들이 엮이는 재미가 있다. 가령, 이 책에서 빌 브라이슨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할 수 없는 세 가지 일이 있음을 얘기하는데 그게 <빌 브라이슨 발칙한 미국학>에서 번복된다거나, 혹은 이 책에서 종종 회상되는 그의 가족 얘기가 <빌 브라이슨의 재밌는 세상>에서 구체화되는 식이다. 그러니까 빌 브라이슨의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 역시 읽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는 뜻이며, 적어도 내가 보기에 그건 꽤 환영할 만한 일이다. 어쨌거나 투덜이 스머프의 여행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빌 브라이슨의 이 여행은 가정이 아니니까 말이다. 게다가 투덜이 스머프의 여행보다는 역시 빌 브라이슨의 여행 쪽이 좀 더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