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 눈이 멀었을 때의 일을 상상하기란 꽤나 어렵지만, 나는 근본적으로 눈이 먼 내 삶이 지금과 완전히 다른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야 물론 눈이 보일 때 할 수 있었던 많은 일들을 상당 부분 포기할 수밖에 없겠지만, 가령 먹고 싸고 자고 씻고 듣고 걷는다거나, 혹은 웃고 울고 찡그리고 화내고 즐거워한다거나, 또는 세상에서 벌어지는 끔찍한 일들에 대해 분통을 터뜨리고 슬퍼하거나 하는 따위의 일들을 여전히 나는 하게 될 것이며, 이것은 현재 내가 '인간'이기에 향유하는 많은 것들을 불편하게나마 계속해서 누릴 수 있으리라는 뜻이다. 이유는 명백하다. 눈이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내가 완전히 다른 존재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요컨대, 눈이 보이지 않아서 좀 더 불편해지더라도 빨간불일 때는 서고 파란불일 때 가는 것은 여전히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인간의 도덕과 가치와 양식은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을 테니까. 하지만 나는, 우리는, 과연 정말로 그럴 수 있을까?

주제 사라마구가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가정하는 상황은 위의 상상보다 좀 더 극단적이다. '백색질병'이 엄습하여 모든 사람들의 눈이 멀어 버리고 그중에 단 한사람, 의사의 아내만이 눈이 보인다. 당연히 세상은 결국 눈먼 사람들의 것이 되어 버리고, 눈먼 자들의 세계는 '누구도 볼 수 없다'라는 인식이 지배하면서 인간이 그간 마땅히 그리해야 된다고 믿어왔던 도덕과 가치와 양식들은 힘을 잃어버리고 만다. '인간'으로서 누려왔던 존엄은 이제 먼 과거의 일이 되었고, 그저 먹고 살아가기 위해 그들은 각 '개인'으로서 고립된 채 모였다가 흩어지기를 반복한다. 빛과 어둠이 명멸하는 세상에서 은밀히 자리하고 있던 인간의 어두운 측면이 오직 하얗게만 보이는 세상에서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이제 더 이상, 빨간불이 어쩌고 파란불이 저쩌고 따위는 누구도 신경 쓰지 않게 된 셈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모든 사람들이 눈이 멀었으며, 유독 의사의 아내만은 어떻게 그 백색질병을 피할 수 있었을까. 당연히 가질 법한 의문이지만, 이 책은 그 점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다만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비로소 남김없이 드러나는 인간의 어두운 면모에도 불구하고, 끝내 거기에 함몰되지 않고 인간의 존엄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의사의 아내의 의식과 행동을 통해 저자는 '눈이 먼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를 새롭게 환기시킬 뿐이다. 눈이 먼 자들을 무자비하게 격리시키는 당국의 비인도적 태도와, 격리된 곳에서 벌어지는 인간의 잔인하고 추악한 행태, 마침내 혼돈이 되어버리는 눈먼 자들의 도시의 참혹한 상황 속에서도 의사의 아내만은 여전히 눈먼 자들에 대한 인간적인 애정의 손길을 결코 놓으려 하지 않고, 그것은 물리적인 의미에서 '눈이 보인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는, 즉 인간적 가치를 여전히 '지닌다(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의사의 아내가 시종일관 '보려 함'으로 인해 '보지 않는' 세상의 참상을 고발하는 관찰자라면, 검은 색안경을 쓴 여자는 '보지 않는' 세상을 경험하며 마침내 '눈을 뜨는' 흥미로운 존재다. 그녀는 남자를 상대로 몸을 파는, 도덕적으로 결함이 있는(적어도 책속에서는 그렇게 묘사된다) 여자이지만 그녀가 볼 수 없게 된 때부터, 엄마와 떨어지게 된 사팔뜨기 소년을 계속해서 돌봐준다거나, 소년에게 자신의 먹을 몫을 나누어준다거나, 자신의 부모님을 진심으로 걱정하는 등 눈이 보일 때의 그녀와 사뭇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특히 검은 안대를 한 노인을 어떤 외적인 가치와는 상관없이, 단지 그 존재 자체로 사랑하는 모습은 그녀의 눈을 가리고 있던 안대를 비로소 벗게 되는(물리적인 의미가 아니라) 상징적인 장면처럼 보인다(또한 그 순간은 그녀의 외면만 보고 어떤 편견에 사로잡혔던 독자들의 눈을 뜨게 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그것은 일종의 '성장'의 순간이며, 그렇기에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벌어지는 절망은 희망을 잉태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과정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역설적이게도, 보이는 세상에서는 끝내 우리가 눈을 뜰 수 없을 테니까. 

'인간'이라면 마땅히 지니어야 한다고 믿어지는 가치들의 나약함은 주제 사라마구의 대담한 상상력이 빚어낸 '하얀 세상'에서 거침없이 발가벗겨지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저자는 "자기 자신을 잃지 말라."는 격려와 함께 여전히 희망이 존재함을, 그러므로 그 희망의 손을 부여잡아야 함을 역설한다. 그리하여 절망과 희망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독자에게 되묻는다. 의사의 아내가 보여주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 손을 내밀어 줄 수 있는 따뜻하고 연민어린 시선이 없다면, 혹은 검은 색안경을 쓴 여자가 말하는 "우리 내부에 있는 이름이 없는 뭔가"를 제대로 볼 수 없다면, 과연 그러고도 우리가 눈을 뜨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지를. 그 질문에 대답하기 어려우면 어려울수록 '눈먼 자들의 도시'는 환상이 아니라 실제에 다름 아니며, '만물의 영장'으로 대변되는 '인간'에 대한 막연하고 오만한 믿음이야말로 오직 환상으로 남을 뿐이다. 타인의 슬픔과 인간의 존엄을 위해 흘릴 '눈물'의 의미를 잃어버린 '눈먼 인간'을 더 이상 '눈물을 핥는 개'가 따를 이유는 없고, 그렇다면 다만 생존을 위해 경쟁할 뿐인 '눈먼 인간'과 '개'의 근본적인 차이란 그리 쉽게 정의될 수 없을 테니까. 

가장 심하게 눈이 먼 사람은 보이는 것을 보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말은 위대한 진리예요. 나는 보고 싶어요, 검은 색안경을 썼던 여자가 말했다. (p419)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p4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