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에 엄마와 누나가 계획한 '모녀의 1박2일 여행'에 내 자리 따위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모녀'라는 단어 속에는 묘하게도 남자나 혹은 아들이 감히 비집고 들어가기 어려운 어떤 단단한 막 같은 게 있어서, 멋모르고 "나두, 나두!"하고 방정을 떨어대다가는 금세 싸늘한 시선이 돌아오기 일쑤임을, 나는 지난 오랜 경험으로 이미 알고 있던 터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하다못해 이름만 하더라도, 내가 끼어버리면 '모녀 여행'이라는 어쩐지 그럴듯한 이름이 '모녀자 여행'이라는 요상한 이름이 되어 버리니, "우리 그러지 말고 함께 '모녀자 여행'을 떠나자."라고 말하는 건 아무래도 차마 할 수 없는 일이기도 했다. 물론, 이름 따위야 어떻게든 여행에 끼고나서 '가족 여행'이라고 에둘러 말하는 수가 있긴 하지만, 그건 나보다 더 빨리, 그리고 철저히 이 여행에서 배제된 아빠에게 도저히 인간적으로 할 짓이 아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감히 두 모녀의 여행에 낄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기름 값이 너무 올랐기 때문이었다. 말만 무성하던 '모녀 여행'을 엄마와 누나가 공식적으로 내게 확인시켜주었을 때 나는 대뜸, "이런 고유가 시대에 달랑 둘이서 차를 끌고 가겠다고?"라며 꽤나 어이없다는 투로 말했고, 아마도 이후 며칠간 은근히 계산에 집착하는 엄마와 누나의 머릿속에는 '고유가'라는 단어가 사라지지 않았음에 틀림없다. 고유가야 개인이 달리 어찌할 방법이 없고, 여전히 여행을 포기할 수도 없다면 남은 건 하나, 바로 1인당 여행경비를 줄이는 것이다. 그리고 그건, 이왕 움직이는 차에 한 사람쯤 더 태우면 자연스레 해결된다. 뭐, 총 여행경비야 조금 더 늘기야 하겠지만 말이다.

아니나 다를까. 여행을 떠나기 전날, 엄마는 자못 진지한 얼굴로 내게 이렇게 물어왔다.
"너도 같이 갔으면 좋겠니?"
그야 두말하면 잔소리지만, 여기서 오로지 사실대로만 대답하는 건 그리 현명하지 않다는 걸, 나는 역시 경험으로 잘 알고 있다. 이쯤 되면 내가 여행에 합류한다는 건 거의 확정적이고, 어차피 가는 여행이라면 최대한 좀 더 유리한 입장에서 떠나는 편이 낫다. 하여 나는 역시 자못 진지한 얼굴로, 절반의 진심과 그만큼의 거짓을 섞어 대답했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정말로 별로 가고 싶지 않아. 근데 어차피 엄마는 차만 타면 무조건 잘 테고, 그럼 누나 혼자 낯선 길을 헤매고 다녀야 되는데, 이게 상당히 걱정스럽지."

그리하여 결국, 우리는 지난 7월 13일, 전라도 쪽으로 그 이름도 이상한 '모녀자의 1박2일 여행'을 떠나게 되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