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사전 1
허영만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강부자 내각이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을 때 혹자는 이렇게 항변했다. "단지 부자라는 한 가지 이유로 그 사람을 매도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확실히, 딴은 그럴 듯한 말이다. 비록 '부자가 천국에 가는 것은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고는 하지만, 최소한 현실에서는 '무전유죄, 유전무죄'의 원칙이 좀 더 들어맞게 마련이니, 일단 부자라면 있는 죄도 오히려 없다고 해야 할 판이니까 말이다. 뭐, 죽은 뒤에야 바늘구멍에 들어가든 쥐구멍에 들어가든, 내가 아는 한 그걸 알 수 있는 방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니 대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부자에 대한 이러한 냉소적이고 부정적인 인식 한편에는 부러움과 시기심 또한 자리하고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오로지 정당하고 깨끗한 방법으로 한 평생 자족하며 살 수 있다면 그보다 좋은 것도 없겠지만, 돈에 대한, 부에 관한, 부자를 향한 욕망은 언제나 가슴 속 깊은 곳에서 꿈틀대며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있다. 하여 욕망이라는 놈은 틈만 나면 이렇게 유혹한다. '폼 나게 살아보자', '돈 걱정 없이 살아보자', '죄 안 짓고(있는 죄도 없는 죄로 만들며) 살아보자' 이건 정말, 꽤나 혹하는 말이 아닌가. 그리고 적어도 내가 보기에, 그렇게 살기 위해서는 분명 부자가 되는 편이 좀 더 유리하다.

<한국의 부자들>이라는 책을 바탕으로 하되, 허영만 화백의 경험을 보탠 이 책 <부자사전>은 사람들이 부자에 대해 가지는 두 가지 감정을 정확히 꿰뚫으며 시작한다. 즉, "부자들에게 흠잡을 데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부자에 대해 품기 쉬운 일방적인 증오와 편견에 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한편,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누구나 부자가 되지 않는다."라며 부자를 향한 욕망을 슬그머니 부채질 한다. 그러니까 이 책은, 부자에 대해 가지는 사람들의 이중적 잣대 위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며 사람들의 심리를 자극하는 멋진 시도를 보여주는 셈이다.

그러나, 그러한 멋진 시도가 끝내 성공적이었냐고 묻는다면, 유감스럽게도 내게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우선, 100인의 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취재를 통해 드러나는 부자들의 방식은 전혀 매력적이지 않다. 물론, 애초에 부자들이 매력적인 방식으로 부를 쌓았으리라고 기대한 것은 아니지만,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부자들의 인간적 고뇌나 어려움을 이해하게 되기는커녕 오히려 부자에 대한 불신과 증오만 깊어질 뿐이다. 가령,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불만 없이 적은 보수를 받고도 일하는 사람을 고용한다든지, '초(秒) 관리 운동'이랍시고 담배 피고, 커피 마시고, 전화 한 통화하는 모든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한다든지, 심지어 '무자비함을 배우라'든지 하는 것들은 지나치게 비인간적으로 보인다. 이렇게 해야만 부자가 될 수 있다면? 글쎄, 어쩐지 박지원의 <양반전> 한 대목을 들려주고 싶어진다. "그만 두시오, 그만 두오. 맹랑하구먼. 나를 장차 도둑놈으로 만들 작정인가."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내뱉고 돌아설 수 없는 게 바로 욕망의 무서운 점이다. 부자가 되면 도둑놈도 도둑놈이 아니게 되고, 더욱이 일단 부자가 된 뒤에 착하게 살면 그만이라는 자기기만적 유혹은 결코 간단히 물리칠 수 있는 게 아니다. 그런데, 이렇게까지 욕망에 두손 두발 다 들고 항복하더라도, 실상 이 책에서 무슨 대단한 비법을 얻고자 한다면 또한 실망하기 딱 알맞다. 한 예로, '부자가 되는 최선의 방법은 돈을 쓰지 않는 것이다.'라는데, 그야 물론 맞는 말이지만 조금 허탈해진다. 또 다른 예로, 100명의 부자들 중 다수가 A라는 방법으로 돈을 벌었다고 치자. 그럼 A라는 방법이 돈을 버는 최고의 수단인가? 결코 아니다. A라는 방법으로 돈을 날린 수많은 사람들도 있다. 그렇다면 성공과 실패의 잣대는 무엇일까? 바로 부자들에게는 '안목'이란 게 있기 때문이란다. 결국 부자는 부자로서의 안목이 있기 때문에 A가 유용한 방법이고, 안부자는 부자로서의 안목이 없기 때문에 A가 유용한 방법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그러면 '당신은 부자인가, 안부자인가?'라는 원초적 질문 외에 무엇이 더 남는단 말인가.

부자에 대한 증오와 편견을 전혀 불식시키지 못하고, 부자를 향한 욕망도 전혀 채워주지 못했다면 도대체 이 책이 무슨 소용인가 싶지만, 사실 이 책이 그렇게까지 나쁘지는 않다. 앞에서 조금 극단적인 예를 들기는 했지만, 본래 부자가 되는 방법이란 것은 대개 아주 사소하고 당연해 보이는 원칙들을 실천하는 데에서 비롯되는 법이고,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것도 바로 그런 것일 게다. 그러나, "허영만 선생님께서 비로소 부자들에게 '인간의 얼굴'을 그려주셨다."는, <한국의 부자들>의 저자인 한상복의 말 자체에는 동의하더라도, 그 말이 품고 있는 그 이상의 의미까지는 아무래도 공감하기 어렵다. 다시 말해, 만화를 통해서 좀 더 쉽고 재미있게 부자들의 세계를 접할 수는 있었지만, 거기에 '인간의 삶'까지 기대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는 말이다. 마치 '사전'에는 '이야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사전'의 속성이 본래 그러하듯, <부자사전>도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누군가에게는 매우 유용할 수도 있음은 분명하다. 그리고 실제로 나 역시 종종 자극이 될 수 있는 원칙들을 여럿 접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허영만 화백의 '그림'이 '글'에 비해 많이 아까워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다. 100명의 부자들을 분석한 것은 나름 괜찮은 시도로도 보이지만, 한 개인으로서의 부자가 지닌 인간적 고뇌와 삶의 무게를 좀 더 가깝게 느끼는 데에는 오히려 100이라는 숫자가 걸림돌이 된 것은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다. 아무래도 나는, 별 '사연(이야기)' 없는 100명의 부자들의 '얼굴'은 어쩐지 '가면'처럼 무감각해 보이기 때문이다. 이왕에 '그림'이라는 '얼굴'을 달기로 했다면, 그 '얼굴'에 얽힌 사연에 좀 더 집중하는 것도 괜찮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것도 바로 그래서이다. 그야 물론, 그랬다면 이미 '사전'은 아니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