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인간인가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의 기록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인 프리모 레비에 의하면, 나치즘 치하의 독일군에 의해 수용소 생활을 하고, 끝내 살아남은 사람들의 이후 삶은 대체로 두 가지 부류로 나뉜다고 한다. 하나는 수용소에서의 생활에 끔찍한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며, 다시는 수용소에서의 일을 입에 담지 않으려는 부류이고, 다른 하나는 적극적으로 수용소에서의 삶을 떠올릴뿐더러, 결코 그 일을 세상이 잊기를 바라지 않는 부류이다. 이런 이분법 하에서, 프리모 레비는 후자의 사람으로서 극적으로 수용소를 벗어난 후, 수용소를 세상에 알릴 수 있는 하나의 방편으로 이 책을 저술한 것이라고 해도 과히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그가 이 책을 저술한 이유는 단지 독일군의 잔인함과 만행, 그리고 수용소에서의 비참한 생활에 대한 고발에 있는 것이 아니다. 물론 인간의 삶이라고 부르기 힘든 수용소 생활에 대한 기록은 비참함과 괴로움, 그리고 절망으로 점철되어 있지만, 그것을 오직 독일군에 대한 분노와 원망으로 돌려버리는 것에 저자는 그리 동조하지 않는다. 나치즘과 당시의 독일군은 이제 사라졌지만, '수용소'는 아직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수용소가 느닷없이 나타난 우연의 산물이 아니라, 논리적인 귀결로 이루어진 결과물이라고 생각하며, 그것이 오늘날에도 형태를 달리하며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경계한다. 그리고 그 논리적인 결과물의 대전제, 즉 '타인에 대한 적대감'이 어떤 자극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표출될 때, 얼마나 심각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지에 주목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가지고 있는, 바로 그 '재앙의 씨앗'을 한시도 무방비하게 놔두어서는 안 될 것을 경고한다.

'타인에 대한 적대감'은 '타인에 대한 무관심'으로 확대될 수 있을 듯하고, 이는 '지나친 자기애'와도 그리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대부분의 인간이 이 중 어느 쪽으로 부터든 쉽사리 자유로울 수 없음이 명백한 이상, 나치즘과 수용소는 특이한 인종의 우연한 산물이 결코 아닐뿐더러, 여전히 잠재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극적인 귀환 후, 세상에 '수용소'의 진정한 의미를 알리고자 노력했던 프리모 레비가 결국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도, 어쩌면 결코 떨쳐내지 못한 '재앙의 씨앗'에 절망했기 때문인지도 모를 일이다.

일제 치하의 식민지배에 고통 받았던 우리 민족의 역사는 나치즘에 의해 희생된 유대인의 경험에 좀 더 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마치 일제의 잔인함을 혐오하듯이 독일의 나치즘을 증오하기 쉽다. 하지만 그것은 분명 또 다른 '적대감'의 하나이고, 이는 오히려 좀 더 근원적인 위험에 대한 인식을 막는 견고한 방어벽이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일제와 나치즘은 분명 비판 받아 마땅한 것이지만, 그보다는 그러한 '수용소'를 만들어낸 인간 내면의 의식이 보다 중요한 경계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나치즘의 수용소'가 아니라, 다만 '인간의 수용소'인 것이다.

'수용소'에서 벌어졌던 일련의 비참한 일들은 인간의 일이기도 하거니와, 또한 인간의 일이 아니기도 하다. 그것은 보편적 인간의 내면에 존재한 '재앙의 씨앗'이 분출한 결과물이지만, 동시에 그것은 절대로 인간이 한 일이라고 이해되어서는 안 되는 절망적인 것이다. 이런 모순 속에서 끝내 '인간'으로서 남고자 한다면, 프리모 레비의 말에 귀 기울이는 것은 '인간'의 의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스한 집에서 / 안락한 삶을 누리는 당신. / 집으로 돌아오면 /따뜻한 음식과 다정한 얼굴을 만나는 당신.

생각해보라 이것이 인간인지. / 진흙탕 속에서 고되게 노동하며 / 평화를 알지 못하고 / 빵 반쪽을 위해 싸우고 / 예, 아니오라는 말 한마디 때문에 죽어가는 이가. / 생각해보라 이것이 여자인지. / 머리카락 한 올 없이, 이름도 없이, / 기억할 힘도 없이 / 두 눈은 텅 비고 한겨울 개구리처럼 / 자궁이 차디찬 이가. / 이런 일이 있었음을 생각하라.

당신에게 이 말들을 전하니 / 가슴에 새겨두라. / 집에 있을 때나, 길을 걸을 때나 / 잠자리에 들 때나, 깨어날 때나. / 당신의 아이들에게 거듭 들려주라.

그러지 않으면 당신 집이 무너져 내리고 / 온갖 병이 당신을 괴롭히며 / 당신의 아이들이 당신을 외면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