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 앞에서 - 한 사학자의 6.25 일기
김성칠 지음 / 창비 / 199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정확히 언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나는 분명 학교 교과과정에서 '안네의 일기'에 대해 수업을 들었던 기억이 있다. 그래서 지금도 '안네의 일기'가 대체로 어떤 과정을 통해 쓰여졌는지 말할 수 있고, 특히 그 중 한 부분은 읽어보았던 것 같기도 하다. 물론 이것은 내 의지와는 전혀 무관한 학교교육의 일방적 결과이지만, 여기에 특별히 큰 불만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런데 나는 이제야 비로소 <역사 앞에서>라는 책을 읽고서 김성칠이라는 한 사학자의 이름과 그가 남긴 일기의 존재를 알 수 있었고, 1950년 6.25전쟁을 전후하여 쓰여진 그의 일기를 통해 내가 관념적으로만 이해하던 6.25와 당시의 사정이 얼마나 참혹하고 서글픈 것이었는지, 조금이나마 구체적으로 깨달을 수 있었다.
생각해보면, 나는 6.25전쟁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다. 그저 북한의 일방적 남침으로 비롯된 '민족상잔의 비극'이라는 닳고 닳은 표현을 겨우 다시 끄집어낼 수 있을 뿐이고, 여기에는 북한에 대한 적개심이 강하게 녹아들어 있다. 그러나 행인지 불행인지, 이 책을 통해 드러나는 6.25전쟁의 실상은 내가 막연히 알고 있던 바와 사뭇 달랐다.
차라리 적과 동지의 구분이 명확하다면, 그리고 '나의 나라'와 '적의 나라'가 성립한다면 그것은 다행임에 분명하다. 6.25전쟁을 기점으로 하여 친구는 친구가 아니게 되고, 형제는 더 이상 형제가 아니게 되고, 가족은 끝내 가족이기를 거부하고 만다. 파란색과 붉은색의 경계에서 극으로 치우치지 못하는 대다수 색들의 정체성은 끊임없이 의심을 받으며, 어느 쪽에서도 환영받지 못하고, 그저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 칠 뿐이다.
이러한 혼돈ㅡ일방적인 증오도, 애정도 없는 참혹하고 서글픈 전쟁 속에서, 과연 어떻게 피아를 구분하고, 어떻게 정의와 불의를 판별할 수 있겠는가. 하물며 그 시대를 살지 못한 나로서는 그 전모를 대강 이해하는 것조차도 힘겨울 뿐이다. 그러나 최소한 공산당이 싫다고 울부짖었다던 한 어린 소년의 외침과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 사이의 의뭉스런 관계를 맹목적으로 양립시켜오던 타성으로부터는 벗어날 수 있고, 또 그래야 마땅하다고 믿는다.
내가 지금껏 이른바, '김성칠의 일기'를 모르고 지낸 것이, 오로지 내 무지로 인한 결과라면 오히려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외국의 한 소녀가 쓴, '안네의 일기'가 여전히 내 기억 속에 머물러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민족의 가장 참혹하고 서글픈 전쟁을 사료로서의 의지를 가지고, 매우 잘 서술한 이 일기를 뒤늦게 알게 되었음은 반드시 내 탓만은 아닐 것이다. 이 일기가 1990년대 초에나 세상에 나온 것을 감안해야겠지만, 이때 이미 '안네의 일기'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음을 생각하면, 유감스럽게도 역시 우리의 '과거'가 얼마나 정체되어 있었던 것인지 짐작할 만한 일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