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을 쫓는 아이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이미선 옮김 / 열림원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유명한 작품들은 서로 다른 장르로 탄생되곤 한다. 이 작품도 마찬가지여서 난 영화로 처음 만났다. 그리고 오래지나지 않아 책을 읽게됐다. 보통은 시간과 표현의 한계가 있을수록 감동이 덜한데 이 작품은 책도, 영화도 좋았다. 영화를 먼저 접한 까닭인지도 모르겠지만 두려움을 이겨내고 용서를 구하는 아름다움은 누구에게나 감동을 주기 충분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도련님을 위해서라면 천 번이라도 그렇게 할게요."
하산은 아미르에겐 하인신분이지만 사실 함께자란 형제같은 사이이다. 아미르는 하산의 도움으로 연날리기 대회에서 우승을 하지만 그날 일어난 일로 둘의 사이가 이전같지 않아진다. 두려움에 하산을 모른척했던 아미르는 그 죄책감을 계속 떠안고 있어 쉽게 용서를 구하지도 못한다. 그렇게 하산은 아버지 알리와 함께 집을 떠나고 아미르는 소련의 침공을 피해 아버지와 함께 미국으로 망명을 하고 만다. 어른이 되어 소설가로 성공한 아미르는 아버지의 친구였던 라힘 칸의 전화를 받고 파키스탄으로 가고 거기서 충격적인 사실을 듣는다. 그리고 오랫동안 마음에 담아두었던 죄책감을 던지기로 한다. 이제는 죽어버린 하산과 그의 아내를 대신해 용서를 구하고 거두기 위해서 하산의 아들 소랍을 찾아 아프가니스탄으로 간다. 탈레반이 되어 나타나 아미르를 죽이려는 아세프는 소랍에게 새총을 맞아 눈을 다치고 그렇게 아미르는 소랍을 데려온다.
아미르는 아세프에 대한 두려움과 아버지에게 인정받고싶은 마음에 하산의 곤경을 외면하고 말았다. 이 책을 눈여겨볼 첫번째는 주인공 아미르가 오랜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은 죄의식과 두려움을 벗어던지기 위해 정면으로 부딪히는 과정이다. 그 어린시절 하산에게 주인으로서의 체면을 던지고 솔직했다면 그 위험한 상황을 맞이하지는 않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미르는 그렇게 하지 못했다. 어른이 되어 상황은 더욱 나빠졌지만 이제 더이상 쉬운길에 숨어 마음의 짐을 지고가는 일을 그만두는 결심과 노력이 참 멋지다. 두번째로 볼것은 아직 우리에게 낯선나라 아프가니스탄의 아픈 역사와 문화이다. 이야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감싸고 있는 그들의 문화와 현대사는 현실성을 더해주고 공감을 깊이 할 수 있게 해준다. 영화를 먼저봤던 나는 연날리기의 장면이 눈앞에 아른거린다. 우리도 갖고있는 연날리기 문화에 대한 친숙함이 더해져 쉽게 빠져들 수 있었다.
소랍을 데려와 키우는 아미르는 그에게 연날리는 것을 가르쳐준다. 옛날에 하산이 그랬던 것처럼 든든하고 묵묵하게 옆자리에 있어준다. 즉석에서 시합이 붙은 아이와 겨루면서 그는 하산을 떠올린다. 끊어진 연을 주우러 가는 아미르는 소랍에게 외친다. "너를 위해서라면 천 번이라도 그렇게 해주마." 라고.
처음 만나는 작가에 잘 알지 못하는 나라의 사정이 겹치지만 그런것은 조금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나이불문, 국적불문, 성별을 불문하고 모두 빠져들 수 있는 따뜻한 책이었다. 하늘을 시원하게 가르던 연과 그걸 주우러 가면서 천번이라도 널 위해 하겠다고 하던 하산과 아미르가 떠오른다. 참 훈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