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산의 풍경 - 정약용 시 선집 ㅣ 돌베개 우리고전 100선 10
정약용 지음, 최지녀 편역 / 돌베개 / 2008년 1월
평점 :
지금은 이런말을 하기 무척 민망하지만 중,고등학교에 다닐때엔 나도 작가가 되고싶었다. 책을 즐기고 간간히 백일장과 같은 대회에 나가면서 수업을 빠지는 것을 즐거워하던 발칙한(?) 학생이었다. 그런 내게 잊혀지지 않는 말이 있다. 중학교에 다닐때 내 글을 지도해주시던 선생님께서 내게 '넌 산문타입이니까 시는 쓰지마' 라고 하셨다. 하나라도 제대로 하는것이 무척 힘들고 어려운 일이라는걸 아직 모르던 때였다. 그래서 괜한 욕심에 충격(?)을 받아 남의 시를 두 눈 부릅뜨고 보기도 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의 선생님 말씀이 심하게 옳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처음으로 글짓기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느낀것도, 처음으로 좀 더 세세히 교육을 받은것도 모두 산문에 속하는 글이었다. 나는 시를 제대로 느끼기도 바쁜 처지이니 시까지 잘쓰고 싶은 마음은 크나큰 욕심이었다. 담아내지도 못하는 욕심이라는 것을 알고나선 시를 평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무척 오랜만에 시집을 손에 쥐었다. 다산 정약용의 시집.
책을 훑어보고 조금 막막했다. 시는 무척 많은데 그 시에 대한 해설은 턱없이 부족했다. 읽어도 멍하게 넘어가야 할 판이다. 글을 너무 수학문제 풀듯 해설에 치우치는것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다른 시대에 다른 성별에 다른 생각을 갖고있던 사람이 표현한 그 마음을 내 잣대로 헤아리기엔 무리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없는걸 어쩌나. 외국방송을 틀어놓고 들리면 들리는대로 안들리면 안들리는대로 넘어가던 마음을 빌려올 수밖에 없었다.
나름대로 주제에 따라 분류된 시를 읽으면서 한사람의 마음뿐이 아닌, 당시의 나라사정이 훤히 보였다. 뜻이 컸던 사람인만큼 그릇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나라사정이 답답했을 것이다. 백성의 삶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그가 느꼈을 마음을 조심스럽게 짐작해본다. 다산의 일생마저 담긴 이 시집에서 내게 많은 공감을 끌어낸건 역시 가족을 생각하며 쓴 시가 있는 부분이다. 가족에 대한 마음이라면 짐승에 대한 것이라도 헤아릴 수 있는 법이다. 유배생활을 했던 그에게 가족에 대한 마음은 잘 알겠다. 가장 애틋하고 따뜻했던 부분이었다.
시가 끝나고 실려있는 해설을 통해 좀 더 정약용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다산 정약용이라는 사람을 더욱 잘 알게 된듯한 친근함이 가장 큰 득이 된것이라 생각한다. 줄줄 흘러내려온 문장 못지않게 많은것을 담긴 시였다. 오랜 시간이 지나 내 마음도 담담하고 차분해지면 시 한줄 쓸 수 있으려나. 천천히 두고두고 읽어도 새로운 기분이 들것같은 시집이었다. 마지막으로, 마음에 들었던 짧은 시 한편 소개하겠다.
8년만에 아들을 만나
생김새는 내 자식 같은데
수염이 나서 딴사람 같애.
집에서 보낸 편지를 갖고 오긴 했지만
틀림없는 진짜인진 의심스러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