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산 정조대왕 - 조선의 이노베이터
이상각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신념이 현실에 조롱당하고, 나의 꿈이 안타까운 희생을 키우는데...... 포기하지 않는 나는 과연 옳은 것이냐?
높은 평가를 받으며 끝난 너무도 짧았던 드라마 속 정조의 대사이다. 모두 보지는 못했지만 인상깊은 드라마였다. 개혁정책을 반대하는 사람들과 밀고 나가려는 정조의 힘겨루기가 나오는 내용으로 드라마 속에 나오는 정조시대엔 이미 조선에도 넓은 세상으로 눈을 돌리는 사람이 많았다. 망원경이 나오고 세계지도가 보이고 안경을 쓴 사람을 보면서 어색하기도 하고 신기하게도 보이기도 했다. 그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나라를 바꾸고자 했던 정조에 대한 책, 이산 정조대왕을 보면 비교적 자세히 정조와 그 시대에 대해 알 수 있다.
정조는 뒤주에 갖혀 죽은 비운의 사도세자의 아들로 그가 세손때부터의 살벌한 조정 상황을 숨죽여 지켜보며 자랐다. 유독 마음이 약하고 변덕이 심했다는 영조는 선왕을 독살했다는 소문과 정비의 소생이 아니라는 컴플렉스가 있어 주변의 반응에 민감했다고 알고 있다. 때문에 자신을 왕으로 추대한 신료들을 부정하는 아들을 보면서 자신을 부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충격을 받아 결국 자식을 죽이게까지 된다. 하지만 원래 감정이 풍부하고 정이 많은 영조여서 폐서인시킨 아들을 세자로 올리고 세손을 끔찍이 아끼고 보호한다. 어린나이에 아버지의 죽음을 본 세손은 조심하고 또 조심하면서 왕위에 등극하고 곧 자신을 사도세자의 아들이라고 칭한다. 그렇게 왕이 된 정조가 어릴적부터 자신을 죽이려던 신료들에게 밀리지 않고 나라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이 많은 자료와 함께 소개되어있다. 그의 눈부신 정책과 그의 주변사람들에 대한 설명까지, 정조 사전이라고 하고싶다.
비교적 이해하기 쉬운 문체로 지루하지 않아 좋다. 당시의 상황을 간략히 설명해서 기억하기가 쉬웠다. 학교다닐때 이 책을 봤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의 여러 개혁정책을 하나 하나 읽으면서 위에서 언급한 드라마속 장면들이 드문드문 떠올라 더욱 이해가 쉬웠다. 드라마를 제대로 다 보지 못해 나라를 잘 이끌어보겠다는 왕에게 왜 시장 상인들이 반기를 들고 일어서는지 이해할 수 없었던게 사실이다. 책을 통해 시전의 폐단을 알고 이를 없애려는 정책을 안 뒤에야 드라마속 시전 상인들을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책 속의 다양한 자료 사진도 좋았다. 정조라는 사람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모든것을 담아놓은 책이다.
물론 아쉬운 점도 있었다. 이 책은 엽기 역사 시리즈가 아니지 않은가. 물론 분위기를 어느정도 가볍게 이끌고 유지시키면서 좀더 쉽게 쓰려고 했겠지만 때로 당시의 상황을 상상하고 받아들이는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대놓고 '임금의 개가 따로 없구만' 이라고 하는편이 '임금의 푸들이 따로 없구만' 이라고 돌려 표현한 것보다 더 좋다. 재미있는 표현이어서 마음에는 들지만, 이런 말을 할법한 사람들을 머릿속에 그리는 데에는 독이 된다. 또 한가지, 전체적으로 봤을때 작가는 정조시대에 등장하는 인물 한사람 한사람에 대해 개인적인 입장을 미리 끝내놓고 그에 대한 것을 서술했다는 느낌이 들어 아쉽다. 적어도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를 할 때엔 많은 자료를 따지고 정황을 맞추어야 한다. 그 과정을 논리적으로 서술해야 자신의 평가가 공감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그러한 판단과정은 턱없이 부족하고 그저 누구는 어떠한 사람이었고 또 누구는 이런 사람이었다는 말만 있다. 사도세자와 그의 비는 특히나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많은 인물인 만큼 섣부른 단정은 금하고 많은 자료를 통해 당시의 사실을 유추하는데 신경을 써야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정조 한사람에 대한 작가의 입장은 책 한권이라는 양을 통해 다방면으로 보여주었지만 그의 주변인물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 서술을 보여주었다.
나라가 더 나은 방향으로 바뀔수도 있었다는 아쉬움에서 보았을때 정조는 같은 아쉬움을 사람들에게 앞서 남겨준 소현세자와 닮았다는 생각을 했다. 비록 그는 왕위에도 앉지 못했지만 시야를 넓게 하고 더 나은 문물을 받아들이는데 인색하지 않았다. 그와 같은 사람이었던 정조가 좀더 나은 형편에서 왕위에 올랐다면 우리 역사는, 지금 우리나라는 어떤 모습일까 궁금하다.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 만큼이나 큰 일을 할 수 있었던 재목으로서 정조를 기억해 두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