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책 2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다른 수상도 충분히 빛날테지만, 노벨문학상 수상이라면 괜히 한번은 더 쳐다보게 되고 읽어보고 싶고 작가가 어떤사람인지에 관심이 생긴다. 내게는 오르한 파묵이라는 작가가 그랬다. 많은 사람들이 내 이름은 빨강이라는 책을 읽는것을 봤지만 제목이 맘에 안든다는 이상한 이유탓인지 마음이 동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작품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의 신작이라는 명함에 눈길이 갔다. 공포물이라도 쓴건가 하는 지극히 단순한 짐작을 하면서 책을 만났다.
 
  처음부터 페이지가 제법 넘어갈때까지도 내겐 참 힘들었다. 문장이 너무 길어 혼란스러울때가 많았다. 또한 이스탄불이라는 곳에 대해, 터키에 대해 나는 아는게 거의 없다. 백지상태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어렴풋한 그림도 그려낼 수가 없다. 덕분에 책에서 소개되는 풍경들을 낯설어할 수 밖에 없었고 그것이 힘들게 느끼는 이유가 되었다.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주제, 정체성이 이 책의 주제이다. 사라진 아내와 동경하던 아내의 오빠를 찾아 추적하는 내용으로 그 안에 이스탄불의 변화하는 모습까지 담겨있다. 여러면에서 꼼꼼하게 이야기를 풀어놓은 책이어서 가만히 곱씹어보는 재미도 가질 수 있다.  변호사인 갈립이 사라진 아내 뤼야와 함께 모습을 감춘 칼럼리스트 제랄을 찾아헤메이며 자신의 그의 이름을 빌려 대신 제랄인척 칼럼을 쓰는 모습, 다른 문화와 문명을 빠르게 받아들이며 달라져가는 고향의 모습은 분명 원래의 자신(갈립)에, 본연의 이스탄불에 우려를 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갈립의 생각과 행동을 통해, 제랄의 칼럼을 통해, 다른이의 입을 통해 작가는 끊임없이 말하고 있었다.
 
  문득, 파고들어갈수록 어려운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본래의 것을 버리고 다른것을 쫓는것이 문제되는 이유에 시선을 돌려보았다. 변하기 이전의 내가 정말 자기 자신이었다고 할 수 있는지, 정체성이라는 것이 정말 불변의 성질을 가진 것인지에 나는 답을 할 수 없었다. 그렇다면 누군가를 흉내내고 닮아가는 그 모습도 결국엔 그 자신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누군가를 나타내는 개성의 항목이 그사람의 정체성을 나타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온전히 그사람만의 것이 아닌것이다. 남의 개성을 받아들인대도 자신의 정체성은 흔들리거나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이런 깔끔하지 못한 내 생각이 오르한 파묵이라는 작가에 의해 소설속에 하나 하나 쓰여있다. 단순히 문제제기로만 끝나지 않고 폭넓은 장치로 여유있게 풀어낸 것이다. 이 작품에 반한 것이 이러한 점이었다.
 
  다시 읽으면 그때엔 그때 나름대로의 생각으로 다른것을 얻어낼지도 모르겠다. 읽을 때마다 다른 맛을 느낄 수 있는 그런 깊고 풍부한 작품은 만나기 쉽지 않다. 그만큼 읽을 때엔 난해하고 어려운것 같지만 어김없이 짐작하기 힘들만큼의 깊이와 넓이를 느낀다. 큰 일을 해낸듯한 만족감이 참 좋다. 한동안은 이 만족감에 취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