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진보와 실업은 비례한다. 기계와 컴퓨터가 생산을 대체하기 때문에 이같은 추세는 불가피하다. 고용주가 5명의 사람으로 생산하던 일을 5대의 기계로 수행하고 임금을 지급하지 않음으로써 가변비용은 고정비용이 되고 1인당 생산성은 높아진다. 문제는 6명의 고용이 1명의 고용으로 대체되고 6명의 소득은 1명에게 집중된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기술진보와 함께 실업과 불평등이 확대된다. 우리는 그런 시대를 살고 있다. 사장이 1000만원을 벌고 직원이 200만원씩 가져가던 시대보다, 사장이 2000만원을 벌고 나머지 사람들은 실업자가 되는 시대에는 20:80의 사회가 1:99로 바뀔 가능성이 훨씬 크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1:99의 경제체제는 지속가능하지 않다. 기술진보로 인한 실업이 비례하는 상황에서는 '좋은 직장'이 아닌 '직장'자체가 선망의 대상이 된다. 국가 차원의 정책이 없으면 좋든 싫든 이러한 추세는 불가피하다. 그리고 높은 실업률과 불평등의 심화는 경제 전체의 성장잠재력을 잠식한다. 최소화된 정부의 기술진보는 시장실패를 가속화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고용창출과 불평등 해소가 정책의 직접적인 목표가 될 것이다. 기업의 성장지원이 고용창출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직자에 대한 고용지원은 취업이 아닌 사업이 될 수도 있다. 관점을 바꾼다면, 복지국가에서 '기본소득제'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수요를 창출하고 높은 실업률을 용인할 수도 있다. 일하지 않아도 먹고 살 수 있지만, 일하지 않으면 기본적인 의식주 이상은 해결할 수 없게, 동시에 노동시장을 유연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설계함으로써 한계소비성향을 극대화하는 것도 다가오는 시대에는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정책이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이나 기업 단위로 해낼 수 없으므로 정부가 정책적으로 제도를 만들어나가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시장을 존중할 경우 기술진보와 실업, 그리고 불평등이 비례하는 상황에서 정부의 역할은 점점 중요해진다. 시장실패를 방지하여 시장의 효율성과 사회후생을 높이는 정책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