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젝의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를 읽다보니 흥미로운 인식이 생긴다. 

내가 기존에 갖고 있던 인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정도인데, 아직 내겐 생경하다. 정리해보자. 

 

 

  파시즘이 좌파의 실패에서 비롯한다는 통찰은 역사적인 맥락에서 수긍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벤야민의 사유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재미있는 점은, 파시즘의 국가사회주의에서 보이는 반자본주의 테제와 반유대주의를 이슬람 근본주의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젝은 이데올로기와 관련하여 네 가지 정치적 입장을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은 잘 몰라서 지젝의 설명을 명확히 이해할 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현재 이스라엘과 이슬람 근본주의 사이에 나타나는 갈틍은 급진 좌파가 지지해서는 안 되는 정치적 노선이라는 주장은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 같다. 이슬람 근본주의에 내재하는 반유대주의가 반자본주의적 수사와 결합하고 있다고 해서 좌파가 헷갈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베르나르 앙리 레비의 '이슬람 파시즘'테제를 언급하고 있는데 여전히 파시즘을 위기상황에서 실패한 혁명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는 듯하다. 

  이런 대략적인 정리도 허접하기 이를 데 없지만, 이슬람 근본주의와 반유대주의의 결합, 그리고 포퓰리즘 우파와 중도 자유주의 사이의 구분도 중요해보인다. 포퓰리즘 우파의 정치적 기반은 '불안'이라는 심리적 기제라는 사실 등등... 

  흥미로운데 아직 완전히 이해하기는 버거운 내용들이다. 지젝답게 헤겔과 라캉의 용어가 곳곳에서 출몰하고 푸코는 물론이거니와 이데올로기와 관련된 기호학적 용어들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까닭으로, 아직 분명한 이해는 어려워 보인다.(냉소적-물신주의와 근본주의적-물신주의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직관적 차이만을 인지하는 것으로 그치자.) 

  지젝 입문서 수준으로 적당한 분량과 내용으로 로쟈의 추천을 받은 책인데, 여전히 내 수준에서는 버겁구나...ㅠ_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