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손 위의 코딩 - 비전공자도 시작할 수 있는 코딩 첫걸음
고코더(이진현) 지음 / 원앤원북스 / 2025년 5월
평점 :
비전공자도 시작할 수 있는 코딩 첫걸음
<내 손위의 코딩>
IT현장에서 10년 넘게 일한 시니어 개발자이며 코딩보다 글 쓰는 걸 좋아하는 프로그래머로 브런치를 시작으로 여러 곳에서 글을 쓰고 있다.
총 5장으로 ’1장. 코딩? 개발자?‘에 대해서는 개발자가 다루는 기계어, 컴파일러와 개발자에 대해 쉽게 설명해준다. 일반인이라면 ‘개발자’에 대해 ‘코딩할 줄 아는 사람’이라고 답하겠지만 저자는 ‘경험하지 않은 문제가 주어졌을 때 해결할 수 있는가’(p.35), ’사회가 원하는 문제를 디지털로 해결해주는 사람‘(p.38)이라고 대답한다. 따라서 문제에 도전할 수 있는 개발자의 덕목으로 ’용기‘를 이야기한다. 이 용기를 가진 독자는 다음 ’2장. 할 수 있다, 개발자!‘를 펼치게 된다. 국비지원, 부트캠프, 온라인강좌 같은 코스로 개발자가 될 수 있는 과정과 취업 시 작성해야 할 포트폴리오에 대한 글이다. 당장 어떻게 해야 개발자가 될 수 있는지, 또 이 코스들을 마치고 날 때의 막막함을 예견한 듯 그 후의 첫 걸음은 어떻게 떼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챕터다. ’3장. 코딩을 배워봅시다‘에서는 책으로, 블로그로, 또 저자의 방법으로 코딩을 공부하는 법을 다룬다. ’4장 개발자로 변신하기‘에서는 프런트엔드, 백엔드 개발자 혹은 모바일 앱 개발자 등 직군별 성향에 대해 설명해준다. 또 정규직과 프리랜서의 비교는 잘 아는 선배 개발자에게 비싼 밥으로 꼬셔서만 들을 수 있는 이야기지 않을까? 그리고 마지막 ’5장. 개발자의 하루‘에서는 현업개발자로서 느끼는 모든 것을 담았다.
개인적으로 2장 중 ’인공지능과 함께 코딩을‘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대부분 인공지능 때문에 개발자라는 직업이 없어질 거라는 보도와는 달리 저자는 ’인공지능 학습도구를 통해 개발자로 전향하는 데 성공‘(p.93)한 친구를 예로 들었다. 물론 친구분은 코딩 학습을 AI로 했다는 내용이긴 했으나 이어서
“과거와 달리 인공지능과의 협업 개발물에 대한 기업 내 수용도가 눈에 띄게 높아졌다. 오히려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개발자에게 높은 점수를 주기도 한다.”(p.95)
라고 쓰고 있다. 현직 시니어 개발자인 저자의 시점에서도 인공지능활용이 필수적인 흐름으로 여기고 있다는 생각에 다시한번 ’용기‘라는 개발자의 덕목을 떠올렸다.
또 5장에서 ’화성에서 온 개발자‘라는 챕터도 눈에 들어왔다.
“비개발자와 개발자, 두 종족은 서로 다른 행성에서 왔다. 그만큼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충돌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들은 언어가 너무 달랐다. 분명히 같은 말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속에 담긴 내용과 뜻은 너무도 달랐다. (p.225)”
저자가 설명한 그 외계인은 우리 집에 강림하신 개발자 남편님이 확실했다. 지구태생이며 갱년기라는 삶의 단계를 맞이한 나는 ’된다‘, ’안된다‘, ’모른다‘라는 확실한 대답을 듣고 난 후에 뒤이은 설명을 원하는데 이 화성 외계인은 항시 애매모호하게 설명을 한 후에 ’그래서 모른다‘로 끝나곤했다. 나는 그 이유가 MBTI의 T라서가 아니라, 개발자라는 직업 탓이란 걸 이해하게 되었다. 그 직업이 우리 지구인을 외계인으로 만들었구나. 끙 아빠, 힘내세요. 코딩책에서 부부고민해결은 덤.
“이 책은 코딩을 배우고자 하는 모든 이를 위한 안내서다. 그리고 개발자를 꿈꾸는 사람들, 특히 비전공자임에도 개발자를 꿈꾸는 독자를 위해 실질적인 방법과 방향을 제시한다.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어떻게’시작해야 할지를 담았다.”(p.7)
저자의 위의 글처럼 컴공을 전공하지 않았더라도, 문과이더라도, 전혀 다른 직업군에 있었더라도, Hello World (1978년 브라이언 커니핸, 데니스리치의 교재 <The C Programming Language>의 책에 나온 첫 예제로, 이 밈이 유명해지면서 프로그래밍 입문자가 가장 먼저 마주하는 코드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한다.(p.19)) 라는 코딩의 세계는 활짝 열려있다고 말해주는 책 <내 손 위의 코딩>이었다.
당연히 컴퓨터공학이 아닌 전공자, 옛날 문과인사람, 다른 직업군이면서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추천이다. 그리고 컴퓨터공학을 고민하고 있는 청소년들도 이 책을 읽으면 코딩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덤으로 컴공 졸업 이후, 개발자의 삶을 간접경험할 수 있으니 미리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