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의 독서 - 한 권의 책이 리더의 말과 글이 되기까지
신동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1월
평점 :
한 권의 책이 리더의 말과 글이 되기까지
<대통령의 독서>
이 책의 제목을 보며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의 연설비서관이었고 <대통령의 글쓰기>로 인문학 글쓰기 강좌를 휩쓸고 다니시는 강원국 저자님을 떠올렸다. 어찌보면 그 연장선에 있는 책이기도 하다. <대통령의 독서>의 저자는 문재인 전대통령 시기에 청와대 연설비서관으로서 5년을 글쓰기로 보좌한 신동호씨이다. 고등학교 3학년 시절, <강원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시인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시인과 청와대 연설비서관이라, 하지만 대통령임기가 끝나고 평산책방을 연 문재인 전 대통령님의 행보를 보면 어쩌면 이런 분이 곁에 있었던 것도 이해가 된다.
<대통령의 독서>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임기시절의 연설을 담은 책이다.
“위대한 길이라는 것은 뭔가요. 있기나 한 걸까요. 소수를 품고 감쌀, 혹은 지배할 다수는 이제 없습니다. 다수는 분해되었습니다. 더 많은 소수가 있을 뿐입니다. 거대한 배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각자가 자신의 배후입니다. 그러고 보니까 오히려 촛불의 물결이 더 대단해 보입니다. 분노의 수위가 다르고, 요구의 절실함이 다르니까. 그런 개인이 모였으니까 더 신명이 납니다.(p.11)
이 책의 첫 부분에 쓰여있는 이 글을 보며 이 한단락이 전 대통령의 곁에서 꼬박 5년을 함께하며 목격한 현재의 우리나라 정치상황이지 않을까 싶었다. 이 소수를 최대한 많이 품을 수 있는 리더가 대통령감이지 않을까?
“대통령의 독서는 비단 대통령 한 사람의 독서가 아니라 이 나라의 독서입니다. 또한 당신의 독서가 대통령의 독서입니다. 타인과 공존하는 사회를 그리는 마음으로 정의와 민주주의, 경제와 과학, 외교와 통상, 역사와 인물에 대한 책을 읽어 본다면, 당신은 그저 직함만 다를 뿐 대통령과 같은 자리에 서 있는 것입니다.”(p.12)라며 그런 당신을 대통령이 함부로 대할 수 있겠느냐고 묻는다. 저자가 이 책을 펴낸 이유다.
개인적으로는 “임기 5년 동안, 문재인 대통령이 연설문에 가장 빈번하게 담은 문구는 ‘함께 잘 사는 나라’다.”(p.313)라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이 문구는 지극히 평범해서 가슴을 울리지 못하지만 “우리는 지금 ‘잘사는 나라’를 넘어 ‘함께 잘사는 나라’를 향해 가고 있다”(p.314)로 쓰이면 느낌이 달라진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 부분을 읽으며 아무래도 인권 변호사 이력을 가진 전 대통령이 추구했던 것이 이것이었구나 싶다. 어떤 행사에 가서 그런 연설을 했다더라고 뉴스로 접하는 것보다 이렇게 책으로 읽다보니 이 사람이 추구했던 것들이 보인다. 비록 과거가 되어버렸지만, 지금 깨닫게 된 것도 아직 늦지 않았다고 믿고 싶다. 그러고보니 초등학교 시절 케네디 위인전을 읽고 덕후가 되어 케네디의 연설문을 좔좔 외웠다는 홍정욱씨의 <7막7장>이 떠올랐다. 왜 나는 우리나라 대통령의 연설문을 읽어볼 생각은 안했을까? 역대 대통령들의 연설문을 읽어보면 우리나라 현대가 그대로 읽힐 것 같다. 그리고 앞으로 좀 더 신중하게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는, 전보다는 진보한 국민의 한 사람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파편화된 소수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그런 지도자를 뽑아야 할 지금 이 시점에서 좀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된 것 같다. 내가 원하는 책들을 읽는 독서도 중요하지만 정치 지도자들이 평소 어떤 책을 읽는지, 그래서 어떤 말들을 자주 하는지, 그가 어떤 것을 하려고 하는지, 간파할 수 있는 성숙한 시민 한 사람이 되고 싶은 소망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