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병, 전쟁, 위기의 세계사 - 위기는 어떻게 역사에 변혁을 가져왔는가
차용구 지음 / 믹스커피 / 2024년 11월
평점 :
위기는 어떻게 역사에 변혁을 가져왔는가
<역병, 전쟁, 위기의 세계사>
현재 우리가 직면한 미증유의 위기들 –코로나라는 질병, 우크라이나-러시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의 시대다. ‘위기’라는 단어에는 ‘위험’과 ‘기회’라는 의미가 함께있다. 그래서 저자는 우리 인류가 지나온 위험한 역사 속에서 기회가 될 수 있는 역사적 통찰을 ‘변경’, ‘접경’으로 시도한다. 알고보니 차용구저자님은 서양사 전공자로 동서양의 접경을 연구하는 중앙대, 한국외대 HK+ 접경인문학연구단의 단장을 역임했고 현재 중대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나는 이때까지 외국 지역학이란 문화나 역사, 정치적인 외교문제를 위한 현상황정도를 배우는 단순한 학문으로 알았다. 지역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이렇게 다양한 모색과 해결방안을 꾀하고 있었구나를 배웠다. 또 한 나라의 대표가 얼마나 중요한지도 새삼 다시 느꼈다. 메으켈 총리도 그렇고 2022년 헝가리 총리였던 빅토르 오르반 그렇고 블라디미르 푸틴도 그렇고(이 세 명은 이 책을 읽으면 바로 느껴진다!) 현재 우리나라를 발칵 뒤집어놓은 분도 그렇고 말이다.
이 책의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환경 위기 속에서 돌파구를 찾은 역사’에서는 주로 역병, 팬데믹이나 환경오염에 대해 대처하는 나라들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2부 정치 위기 속에서 길을 찾은 역사’는 두 장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장 우크라이나 문제의 기원’에서는 현재 러시아의 불곰, 오래해먹는 이 양반, 푸틴이 전쟁명분으로 내세우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룬다. ‘2장 평화 공존의 기억’은 그 외의 다양한 나라들의 역사 속에서 공존을 키워드로 한 에피소드들을 다룬다. ‘3부 위기를 기회로 만든 성찰과 이주의 역사’에서는 폴란드와 독일이 화해했던 일이나, 후진할 때 들리던 그 엘리제 말고 파리의 엘리제궁에서 이루어져 ‘엘리제조약’이라고 불리우는 프랑스와 독일의 협력조약을 이야기한다. 이 파트는 용서, 화해, 협력과 환대로 위기를 이겨낸 역사적 사건들에 대해 쓰여있다. 나는 이 부분 중 독일이 분단되어 있던 시절, 동독이 우라늄 섞인 물을 방류하여 근처 유럽의 하천에 심각한 오염을 주었던 일화가 인상적이었다. 이때, 동독과 서독이 함께 협약을 하여 이 환경오염을 대처해냈다. 이 부분을 읽으며 이번 계엄령선언문 중 “북한 공산세력의 위협으로부터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고”라는 문구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나라가 북한과 함께 힘을 합쳐 이 한반도에 닥친 위기를 이겨내기는커녕 아직도 ‘북’자만 꺼내도 빨갱이로 몰리는 이분법적인 논리는 죽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는 1차세계대전 당시, 유럽 각국이 같은 진영을 따라 참전하게 되어 판이 커져버렸고 후에 메르켈 총리가 이를 두고 남의 싸움에 ‘몽유병환자’들처럼 끼어들었다며 클라크 저자의 <몽유병환자>를 독일 의원들에게 필독시켰다고 쓰여있다. 이를 읽으며 지금 한반도가 딱 몽유병환자처럼 북한은 러시아와 중국에, 우리는 미국에 편입되어 있는 상황 아닌가? 우리는 지금 우크라이나로 파병보내는 북한을 뜯어말릴 정도로 친하지 않으니 말이다. 그들의 전투경험 학습은 우리에겐 말할 수 없을 정도의 큰 위협이고 말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해답을 들려준다. 위기의 세계사 속에서 방법은 있었다. 접경과 변경지역에서는 둘로 단절하지 않았다. 함께 공존했다. 이기적이고 독단적인 방법이 아닌, 화해와 공존의 제스처가 양국에 기회를 가져다주었다. 우리나라에서 이 방법이 통할 날이 오기를 기다려본다.
#역병전쟁위기의세계사#차용구#믹스커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