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고령사회 일본 은퇴자가 사는 법 - 일본 은퇴 선배들의 인생 후반을 위한 현실 조언
김웅철 지음 / 부키 / 2024년 11월
평점 :
초고령사회 일본 은퇴자가 사는 법
일본 은퇴 선배들의 인생 후반을 위한 현실 조언
요즘들어 저출산과 초고령화에 대한 뉴스를 종종 접한다. 수명연장의 꿈은 이루어졌고, 그래서 일본에서는 관리만 잘하면 120세가 아니라 150세도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시점이다. 나와는 무관한 이야긴가 싶다가도 역세권에 한번 나가보면 병원이 참 많음을 실감한다. 직접 방문하면 대기시간도 길다. 우리나라도 150세인생 멀지 않았다. 재활의료기기나 임플란트 쪽 주식이 꾸준히 오르고 있는 것을 보면 인류의 무병장수의 꿈은 정말 멀지 않은 것 같다. 건강검진만 꾸준히 받는다면 하드웨어쪽 장수는 확실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이전에 없던 나이를 살아가야하는 대다수의 초고령인류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 그 첫걸음에 관한 책, <초고령사회 일본 은퇴자가 사는 법>을 소개한다.
최근에 알게 된 분이 현재 퇴직연수 중이라고 하셨다. ‘퇴직연수’라는 단어를 듣고는 ‘회사가 어디세요?’를 묻고 싶었지만 프라이버시가 있어 묻지는 못했다. 하지만 매우 좋은 복지시스템으로 보였다. 청년층을 생각하면 지금의 퇴직 나이가 적당하지 모르지만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지금은 사실 ‘퇴직’은 각가정마다 부담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이 분은 그동안 해보고 싶었던 일들을 하나씩 해보는 중이라며 그 중 하나로 독서에 매진하셨고, 토론활동에도 열심히셨다. 건강해보이셨다. 나도 그 나이에는 저분처럼 멘탈이 건강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이 책에서는 이 분처럼 건강하게 은퇴를 맞이하는 법에 대해 1부, 2부에서 다루고 있다.
“1부 미래 - ‘은퇴’가 아닌 ‘데뷔’의 시간이다”, 와 “2부 일 - 100세 시대, ‘평생 현역’으로 산다”에서는 은퇴를 앞둔 사람의 멘탈케어를 해준다. 은퇴가 인생의 후반부나 낙엽처럼 우울하게 남은 여생을 기운없이 지낼 일이 아니라, 인생 2회차를 맞이해서 ‘데뷔’와 ‘평생 현역’같은 마음가짐으로 살아가야한다는 내용이다. 여기에 ‘시니어 인사이트’라고 해서 ‘당신의 은퇴력 점수는 얼마인가’, 또는 ‘시니어의 꿈’에 대한 체크리스트가 주어진다.
“3부 돈 - 당신은 ‘은퇴 부자’인가 ‘은퇴 빈민’인가”에서는 사실 은퇴라는 단어에서 우리가 가장 걱정해하는 자산관리를 배운다. 나는 개인적으로 “위험한 신앙, 자녀 교육의 함정에서 벗어나라”라는 부분이 와닿았다. “4부 관계 - 새로운 인연이 새로운 인생을 선물한다”를 읽으며 사실 가장 가까운 이와의 관계를 재정립할 것과 새로운 만남에 도전할 것을 조언한다. “5부 일상 - 나이 들수록 더 행복해지는 비밀”에서는 “취미 모임 내 인간관계는 절대 수평을 유지한다”(p.210)와 “행복한 은퇴 생활을 위한 철칙 7개조”(p.226) 등 마구 줄치며 읽었다.
이 책의 마지막에 '당신의 마음 나이는 몇 살인가'에 대한 체크리스트가 있다. 먹는 나이만큼 마음을 다스리라는 이야기는 늘 들린다. 남이 보는 나의 나이가 아닌 내 마음이 정하는 마음나이로 살아보는게 훨씬 중요해보인다. 나는 이 책이 은퇴에 대해 중간 점검해볼만한 검사지로 느껴졌다. 일반 회사의 퇴직이 빨라지고 있는 요즘, 이 책에서도 말하지만 마흔이 적당한 시간이다. .은퇴라는 인생후반부를 반갑게 맞이하기 위한 이 책, 마흔 넘은 분들에게 혹은 은퇴에 대해 회피보다는, 가볍게라도 생각해보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