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아씨들 1 팡세 클래식
루이자 메이 올콧 지음, 카나 그림, 보탬 옮김 / 열림원어린이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김고은님이 주인공이었던 한국판 드라마도 있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여성감독이 연출했다는 2019년 <작은 아씨들> 영화가 기억에 남는다. ‘베쓰가 언제 죽나’ 하며 보았다. 그러다가 조와 베쓰가 바다를 바라보며 이야기하는 장면이 참 예뻤다. 조는 베쓰에게 어떻게든 자기가 너를 안죽게 하겠다고 소리 지르고 이 착한 동생은 자기는 하도 죽음을 많이 생각해서 아무렇지도 않다고, "죽음은 썰물과 같아, 천천히 가지만 꼭 지나가는 거야"라며 오히려 조를 위로한다. 이 대사가 끝나고 서로를 안고 있는 자매 위로 썰물을 데리고 올 바다바람이 거세게 분다. 그리고 그 바람들은 흰 모래들을 휩쓸어간다. 베쓰가 이야기하는 죽음을 보여주고 있던 장면이었다. 그 외에는 엠마 왓슨이 왜 조연인 메기를 맡았지? 궁금했고, 어쩐지 남주의 눈빛이 예사롭지 않더만, 키만 좀 크면 인기 많을텐데..하며 봤더랬다. 왜 한국인에게는 이런 아련한 눈깔(!) DNA는 없을까? 하며..(이 사람이 티모시 살라메인건 <듄> 보며 알게 된 무식했던 나..)

이러한 배경을 뒤로 하고, 2024년 새롭게 읽게 된 팡세클래식 시리즈의 <작은 아씨들>이다. 미국의 남북전쟁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그녀들의 청교도적인 일상이 지금의 아이들에게는 어쩌면 낯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마치가의 네 아씨들을 보며 생각할 만한 지점들이 많았다. 춥고 배고프며, 여성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 없던 시대지만 아주 작은 성취 하나에도 울고 웃는 그녀들을 보며, 지금은 등 따숩고 배부르지만, 없어져버린 어떤 미덕들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아무래도 조가 그 당시의 평범한 아씨들과 달라 돋보인다. 조의 서사가 전개될 때 마다 나는 제인 오스틴, 시몬 드 보부아르, 버지니아 울프, 박경리 작가님을 떠올렸다. 고군분투하는 어린시절의 그녀들이 내게는 조였다. 하지만 이번에 읽을 때 나는 메기와 에이미도 달라보였다. 분명 유행하는 드레스나 예쁜 물건을 좋아하고, 또 그것들이 어울리는 미모의 메기지만, 가난한 남자를 선택한 그녀가 그와의 가정을 지키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나, 에이미가 어쨌든, 부모 없이 자란 로리의 입장에서 택할 수 있는, 자신의 지위에 어울리는 격식을 갖춘 아가씨였다는 점 등이 눈에 들어왔다. 이 네 자매 모두 크고 작은 일들을 함께 겪으며 성장하는 모습이 고르게 읽혔달까? 이게 바로 뻔할 것만 같은 책을 또 읽어도 새로운 독서의 후광?

글밥 많은 책을 도전할만한, 사춘기 여자아이들에게 선물해주기 참 좋은 책이다. 이 네 명 중 어느 한 명에게는 꼭 이입할 인물이 있을 것같다. 나는 새삼 이 네 딸들의 엄마에게 눈길이 갔다. 남편은 전쟁 보내고 네 딸을 홀로 건사하는 마치 부인 리스펙...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첫 책으로 쥘 베른의 소설들, 그리고 이번에 <작은 아씨들1, 2>가 출간된 팡세 클래식도 응원한다. 세계문학을 읽히고 싶은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의 아이들에게 단행본으로 선물하기에도 알맞은 예쁜 시리즈의 책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