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하여 찬란한 삶을 향한 찬사 - 완벽하지 않아 완전한 삶에 대하여
마리나 반 주일렌 지음, 박효은 옮김 / FIKA(피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범하여 찬란한 삶을 향한 찬사>는 벨기에 조형 예술가 자크 리젠의 부고로 시작한다. 이 예술가는 “실패의 예술이 엄연히 존재한다고 주장”(p.5)했던 사람으로 실패 전문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저자는 이 예술가의 미학이 ‘중요하지 않은 것의 중요성’을 환기하는 것이었다면, 자신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보고 싶다고 고백한다. 그래서 “우리는 ‘대단한’ 무언가가 되지 못한다면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해버리지 않는가.”(p.8)라며 책 제목의 평범과 찬란이 동등한 의미로 쓰이는, 이 책을 써냈다. 왜 작가는 평범한 것이 찬란하다고 했을까? 보통의 작가라면 평범함이라는 소재에 대해 글을 쓰지 않았을텐데. 이 궁금증에 평범하기 그지 없는 나는 저자인 마리나가 향하는 그곳을 향해 한 걸음씩 따라가며 완독했다. 총 12장의 목차를 따라 읽다보니 평범함의 다양한 프리즘이 보인다. 이걸 작가는 찬란하다고 표현했구나, 싶다.

“평범함을 뜻하는 프랑스어 ‘메디오크리테’는 ‘메디어스medius’,(중간)와 ‘오크리스ocris,(산)’라는 라틴어에 어원을 두고 있다. 이는 글자 그대로 가파른 산 중턱 외딴 구석에 갇혀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우리가 이런 적막한 산골에 틀어박혀 있다고 상상해보자.(p.43)” 여기서 알수 있듯이 평범함은 산 중턱의 외딴 구석이라는 어원에서 온 것이다. 사람들은 산의 정상만을 정복하려 한다. 중턱에서 멈추고 되돌아오는 것은 실패자의 행동이다. 하지만 저자는 그동안 산 중간에서 보지 못했던,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존재를 이야기한다. 책 표지에도 세로에 “인류는 평범한 중간의 이들 덕분에 살아남았다!”라고 쓰여있다. 영웅이 아닌 우리가 그동안 주목하지 않은 이들의 평범함을 바라보아야 함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5장이 좋았다. 5장의 제목은 ‘눈에 띄지 않는 사람들을 바라보기’다 여기에서는 능력주의라는 폭군에 휘둘린 저자의 모습이 서술되어 있다.
“나는 위대한 예술, 즉 극도로 난해한 철학에 헌신하고 싶었다. 이 특별한 영역에 들어가면 불안과 우울이라는 악마로부터 나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돌이켜보면 효과가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니, 솔직히 말하면 별 효과가 없었던 것 같다. 위대한 예술, 즉 추상적 관념이 인간을 구원해줄 것이라 믿었던 나는 너무나 경직되어 있었다. 성취보다 사유를 중요하는 삶을 선택한 것을 정당화하고 싶었다. 스스로 저급 예술에 맞서 용맹하게 싸우고 있는 돈키호테라고 생각했지만, 정작 나는 나 자신의 위선과 싸우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나는 내 주변에 존재하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경이로움을 보지 못한 것이 아니라 보지 않기 위해 눈을 가리고 있었다. 다른 이들과 구별되기 위해, 평범한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 상업적이거나 싸구려 쾌락에 ‘오염’되지 않은 순수의 미학을 추구했다. (...) 순수한 영혼에 대한 열망과 모든 현실적 감정을 거부한 나의 태도는 일상의 만족으로 가는 길을 막는 걸림돌처럼 나를 평범하여 찬란한 삶으로부터 멀어지게 했다. (pp.162~163)”
나 역시 이 부분을 읽으며 그동안 내가 주었던 유난히 짠 별점이 떠올랐다. 지금 역시 다르지 않았던 것이다. 다른 무언가, 더 위의 것, 더 찾기 힘든 것을 찾아 헤매며 독서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평범한 것들을 평가절하한 나의 시선의 위치가 보였다. 소설에는 수많은 영웅이 아니라 소시민들이, 찌질이들이, 실패자들이 주인공이다. 그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나 자신을 투영해볼 수 있다. 이것이 소설이라는 장르의 유의미한점일 것이다. 나는 이 평범한 주인공들의 서사가 위기에서 절정으로 치닫는 고군분투기를 읽으며 마치 남 이야기 구경하듯, 강건너 불보듯 본 것은 아닌가, 생각해본다. 그렇다면 이 평범한 주인공들이 내포한 메시지를 보지 못한 눈먼 독자에 불과했을테니 말이다.


*이 책은 연필을 들고 읽을 것을 추천한다. 평범하여 소소한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문단이 끝나고 다음의 새로운 단락마다, 내가 보지 못한 부분에 대해 짚어주는 저자의 ‘소듕’한 문장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