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B의 은유 - 윤슬빛 소설집 꿈꾸는돌 38
윤슬빛 지음 / 돌베개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윤슬빛님의 일곱 가지 단편이 담겨 있는 소설집이다. 그 중 첫 번째 이야기가 ‘플랜B의 은유’인데 이 책의 타이틀이 되었다. 주인공은 청소년들이다. 성소수자의 고민을 가진 가족이나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플랜B의 은유>는 “플랜B를 세우지 않게 된 이유를 까먹지 않도록, 계속 ‘플랜B’라고 불러 달라”(p.9)는 성소수자 플랜B이모의 “항상 플랜B를 세우면서 살았는데 플랜 A도 B도 C도 다 실패하는 게 인생이더라고.”(p.9)라는 대화에서부터 시작한다.
이 첫 번째 이야기를 읽으며 느낀 것은, 도시에 있는 ‘나’의 친구, 찬우는 공황장애약을 먹는 아빠를 걱정한다. 하지만 주인공 재호와 은유, 그리고 재호엄마와 플랜B이모는 주변의 따가운 시선만 제외하면 매우 행복해보인다. 그 이유가 뭘까, 작가님은 답을 은유에 스며놓은 것 같다.

“음, 비유지. 직유, 은유 할 때 그 은유. 서로 다른 A랑 B 사이에서 어떻게든 공통점을 발견해 내려는 마음, 되게 간절하지 않아?”(p.24)
“아, 은유의 그런 면도 좋아. 이거는 이거다, 라고 말하는 게 꼭 선언하는 것 같잖아. 너는 나다. 나는 너다! 쫌 멋지지 않아?”(p.25)

공통점을 발견하려는 간절한 마음과 선언한다는 것. 이 두 가지 다, 혼자서는 못한다. ‘함께’여야 할 수 있다. 재호엄마와 이모가 함께 하며, 재호와 은유가 함께여서 만들어 낼 수 있는 의미들이다. 사회적 약자이면서 소외되었던 사람들의 연대가 한참인 요즘이다. 거기에 성소수자들이 참여하고 있다.(아닌가, 아직도 유럽만의 이야기인가) 그래서 나는 이 책이 꼭 성소수자들의 이야기라기 보다는 그들을 포함한, 사회에서 소외되어온 사람들의 “너는 나다. 나는 너다”라고 외치는, 독립선언서 같은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이런 선언은 두 번째 이야기인 <내일의 우리>의 마지막 문장에서도 반복된다. “나는 똑바로 거울을 봤다. 거울에 비친 나는, 그냥 나 같았다.”(p.60)

개인적으로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다음에 나오는 ‘빽붓’이었다.
“아주 멀리까지 가고 싶은 마음과 기꺼이 이곳에 붙들려 있고 싶은 마음이 매번 부딪쳤다. 마음이란 게 실체가 있다면 나는 그 마음들을 꺼내 두고 가만 노려보다 큰 ‘빽붓’을 집어 들어 슥 칠해 버리고 싶었다. 얼룩덜룩한 흔적이 조금도 남지 않게. 그러면 모든 게 한결 또렷해질 것도 같았다.”(p.44, <내일의 우리>) 이건 정말 이 글에서 사족이 되겠지만 요새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이 빽붓이다...

읽으며 내내 정현종 시인님의 ‘방문객’이 머리에 맴돌았음을 고백한다. 나는 사실 이 책을 읽으며 동성애에 대해 미화하는 건 아닐까 싶은 면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사람이 온다는 건(...)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오는 것”이라는 시구가 바람이 되어 이 책을 읽는 내내 환기시켜주었다. 내 마음은 이런 바람을 흉내낼 수 있을까가 나의 숙제가 된 책이었다.
p.s 작가의 이름이 예뻐서 제목과 같은 크기로 책 표지에 실리는 구나 싶다. 이름 지어주신 분이 뿌듯해하실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