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거나 문방구 1 : 뚝딱! 이야기 한판 - 제28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대상 수상작 ㅣ 아무거나 문방구 1
정은정 지음, 유시연 그림 / 창비 / 2024년 3월
평점 :
*책 표지에 그려진 도깨비 생김새는 꼭 알라딘에 나오는 램프의 요정 지니 같기도 하고, 달마대사 같기도 하다. 사물에서 탄생한 장난꾸러기 도깨비는 현대에 와서 문방구 주인이 되었다. 이처럼 전래동화라고 불리우던 옛이야기의 소재들이 오늘날의 버전으로 이 책에 그려져 있다. 마치 책 속에만 존재하고 현실에서는 일어나지 않을 것만 같은 일들이 아니라, 어린이 독자의 삶 속에서도 일어나는 일이라고 말해주는 작가의 메시지가 들리는 듯하다.
*앞으로도 시리즈물로 계속 나올 것만 같은, 나와야만 하는 이 책의 프롤로그는 다음과 같다.
옛날 옛날 깊은 산속에 이야기를 무지무지 좋아하는 도깨비가 살았어. 마을에 불쑥 나타나서는 사람들에게 대뜸 이야기 내기를 걸었지.
“어때? 나랑 재밌는 이야기 한판!”
사람들은 깜짝 놀라 벌벌 떨며 말했어.
“무.......무슨 이야기요?”
“아무거나! 이야기라면 다 돼!”
그런데 그게 또 희한해. 도깨비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이야기가 절로 술술 나오지 뭐야? 마치 주문에 걸린 것처럼 말이야.
여기서 도깨비가 원하는 이야기는 꼭 재미있어야만 하는 이야기라던가, 할머니에게 전해들어야 알 수 있는 그런 유명한 이야기가 아니다. 이 책 속 인물들만의 속마음이 담긴 이야기를 원한다. 따지고 보면 도깨비는 굉장한 경청자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어른들도 함께 읽고 이 도깨비에게서 한 수 배워야 할지도 모른다. 슬이 친구 중에 가끔 눈을 마주쳐주면 더 열심히 이야기하는 아이들이 더러 있다. 이렇게 눈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신나서 이야기하는 아이를 보고 있으면 일단 부럽다. (슬이가 그런 성격이 아니라서..) 두 번째 드는 생각은 말하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들은 누군가 앞에서 이야기할 때 에너지가 증가하는게 느껴진다는 것이다. (물론 I인 나는 도가 지나치면 기가 빨..) 이런 점을 생각해보면 이 이야기좋아하는 도깨비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경청해줌으로 아이들에게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를 보태주는 존재다. 우리 어른들도 본받아야 한다. 명령형으로 이야기하기보다, 아이앞에서 ‘라떼는~’ 은 좀 적게하고(안할 순 없을테니) 아이들의 이야기를 경청해야, 우리아이들이 힘을 받고 그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또 그 아이가 어른이 되어 또 다른 도깨비가 되어 아이들에게 힘을 주는 존재가 되는 선순환의 사회를 작가가 이야기하는 게 아닐까?
*이 ‘아무거나 문방구’를 들어가게 되는 아이들은 선택받은 아이들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운이 좋아야 아무거나 문방구 근처에 살고 있는 운이 있어야 할테니 말이다. 이즈음 생각하며 걷다보니 우리 동네 문방구가 보인다. 30년 운영하셨다는데 이제는 문을 닫는다는 현수막이 붙어있다. 사실 나는 이사를 왔기에 내가 어렸을 때 다녔던 곳은 아니지만, 몇 년 사이에 부쩍 나이드신 주인 할아버지가 어디 편찮으신가 생각하게 된다. 이제 아이들이 많이 줄었고, 인터넷이나 다이소에서 학용품을 사는 분위기다. 무인 문방구도 있고, 우리 때는 개인적으로 준비해야 했던 도화지나, 리코더, 단소 이런 물품은 이제 학교에서 제공해준다. 어쩌면 문방구도 이야기 책 속에나 존재하는 곳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다 없어지고 그 자리에 무인편의점이나 하나 더 생길지도.
*추천해주고 싶은 사람
전천당에 빠져 있는 아이라면 120% 좋아할 우리의 이야기이다.
새학기를 맞아 친구들과 우당탕탕 우정을 쌓고 있는 아이들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