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과 새와 소년에 대해
장아미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이 책은 달끝마을에 사는 희미, 그 옆집 사는 준후, 신도시로 최근 이사한 민진이, 그리고 신목의 특별한 기운으로 남다른 존재 새별이, 소녀 셋에 소년 한 명이 그리는 이야기이다. 작가의 새와 고양이, 그리고 나무 사랑이 느껴지는 그런 책이기도 했다.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애정과 관심, 그리고 안타까움이 예쁜 책이다. 또 한편으로는 쿨한 세 명의 소녀들이 한 마음(!)이 아니어서(???이건 진짜 읽어봐야 그 뉘앙스를 안다!) 그 셋의 대화가 완전 요새 아이들 이야기하는 식이어서 더 정겹다.
한 아이만 소개하자면, 주인공 중의 한 명인 희미는 달끝마을의 오래된 집, 하하헌에서 사는 아이이다.
“부엌에는 조왕님, 장독대에는 칠성님을 모신 것처럼 대들보에는 성주님을 받든 거지.”(p.65)
외할아버지가 엄마에게, 엄마가 희미에게 전하는 것은 그저 단순히 우리나라 전통 집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오래 산 나무가 베어져 이 집의 기둥이 되고, 대들보가 되고, 그리고 그 오래된 것들이 넋이 되어 함께 한다는 이야기가 전승된다는 이야기이다. 그 앞 신도시에서 사는 민진이의 환경과 대비시켜 보면 우리가 잊은 것들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인물이 희미이다. 그래서 이름이 희미일지도 모른다. 잊혀져 가는 것을 희미로 표현한 것이지도.
이 책은 우리가 잊은 것들에 대한 이야기다. 하나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이야기들이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는 우리가 불편해서 생각하고 싶어하지 않는 자연(식물, 동물)으로 보인다. 신도시가 들어서기까지 베어져버려야 하는 나무들과 그 속에 살고 있던 자연물들. 도시가 생기면부차적으로 함께 깔리는 도로들, 그 위의 로드킬된 동물들. 새들이 피할 수 없는 건물의 유리들. 인간의 편리만을 위해 만들어진 것들이 동물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나무들이 죽어가는 이 런 상황을 우리가 잊어선 안된다고, 별과 새와 소년을 생각하라는, 그런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