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부 종이접기 클럽 (양장) 소설Y
이종산 지음 / 창비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이접기에 대하여.
1.
풍영중학교 2학년 여학생, 정세연인 '나'의 시점으로 이 소설은 시작된다. "아무리 어려운 일도 끈질기게 매달"리는 이성적인 소라와 호기심이 넘치는 모모와 함께 도서부이면서 종이접기 클럽을 운영중이다. 이 책은 종이접기의 매력을 잘 알려준다. "절대 대신 접어주지 않는다"(p.119) 이런 회복탄력성을 배울 뿐 아니라 ,"쉬워 보이는 것도 직접 해 보면 의외로 어렵다"(p.59)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닌 세상을 배운다. 뿐만 아니라 종이접기를 하며 세연이는 친구들에게 도움을 받을 줄 알게 된다. 남의 환대를 받아들일 줄 아는 것이 자신을 사랑하게 되는 첫 단계임을 그 나이의 세연이는 모르겠지만 나는 알고 있고 다시금 확인한다.

도서관에서 종이접기클럽 활동을 한다는 것은 지난 시간이 응축되어 있는 이 도서관의 공간을 그때의 학생들이 그랬듯 지금의 나도 소라와 모모와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모두 연결되어 있다.
2.
가끔 교복입은 어두운 얼굴의 여학생들이 지나가면 주제넘게 그 아이들의 주된 고민 몇 가지를 떠올리게 된다. 학업, 진로, 가정에서의 부모와의 관계 그리고 특히 친구와의 비교로 미워하게 되는 자신의 모습. "나를 만든 것은 대체 어떤 신일까?"(p.61) 세연이처럼 나도 그때 그랬다. 똑부러지고 한번 마음 먹으면 해내는 소라가 부러웠고 호기심 생기는 일에 대해 과감하게 도전하는 모모가 부러웠다. 그 시절의 나도 내 자신을 보지 못했다.

하지만 1937년의 그 아이들은 그럴 새도 없었다. 그들의 아버지가, 오빠가, 누나가, 친구들이 돌아오지 않았고 할 수 있는 것은 염원을 담은 종이학을 접어 태우는 것 뿐이었다. 1937년의 수이가 "내가 항상 널 기억하며 살았다면 믿겠니?(p. 220)"라고 말했다. 그녀가 세연이의 말을 기억하고 살아주었듯, 세연이도 수이를 보며 잘 살아내 주기를 바란다. 모모와 소라와 함께, 레비나스의 단단한 자기성(개체성)을 가지고 말이다.


한줄평:
그 시대에 종이접기 할 정도로 종이가 풍성했는가 살짝 의심한 부분에 대해 미안해지는 결말의 감동이 있는 책

p.s "이제와 말이지만, 난 사실 친구들이랑 같이 종이접는 시간이 참 좋았어. 시키니까 마지못해서 하는 척했지만, 돌아보면 그냥 날 위해 접었던 것 같아. 한참 종이를 접다 보면 시끄럽던 속이 조용해졌거든. 슬픔도 가라앉고, 화도 가라앉고, 터질 듯한 그리움도 잠시 내려놓게 되고, 종이학 접는게 지겨워지면 꽃도 접고, 나비도 접고, 새도 접고(...)"(p.222) 요새 나는 테레사 책방선생님께서 수업하시는 그림책인형 만드는 동아리에 들어갔다. 세연이처럼 서툴지만 남이 대신 해줄 수 없다는 것, 보기엔 쉬워보여도 직접 하면 어렵다는 것을 몸소 체험하는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22쪽 발췌처럼 '시끄럽던 속이 조용'해짐을 느낀다. 비록 노안에 보이지 않는 바늘 귀에 실을 꿰을 지언정 난 힐링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